조합장선거가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이유는 '조합장'이라는 자리에 걸려 있는 지나친 특권 때문이란 지적이 많다. 돈을 많이 쓸 수 있고, 인사권까지 휘두를 수 있는 등 겉보기보다 너무 많은 권한이 조합장에게 부여돼 있다는 것이다.
조합을 오래 봐온 전문가들은 이제 조합장의 권한을 대폭 내려놓아야 한다고 했다. 그래야 진정한 의미의 조합장(長)을 농'산'어촌 주민들의 힘으로 뽑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목소리다.
조합장에 대한 과도한 권한'혜택 부여가 조합장 선거를 각종 불'탈법으로 만연하게 하는 등 혼탁선거를 부르고 있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 특히 조합장 자리는 자치단체장으로 가는 징검다리로 삼기에 절대적으로 유리해 과도한 권한에 대한 축소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강하게 나온다.
임기 4년의 조합장은 막강한 권한을 가진다. 이 때문에 조합장 선거에서 검은돈을 물 쓰듯 뿌려가며 당선에 목을 맨다.
경북농협 권태한 회원지원단장은 "소수의 비상임조합장은 업무에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이 없지만 대다수를 차지하는 상임조합장 경우 회사의 CEO와 같은 권한을 가진다"고 말했다.
일단 조합 규모별로 차이가 있지만 최소 5천만원에서 많게는 1억원을 웃도는 연봉을 받는다. 여기에다 연봉과 맞먹는 업무추진비를 재량껏 사용할 수 있다. 각종 명목의 업무추진비는 중앙회조차 파악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복잡하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얘기다.
대표적인 것이 교육지원비로, 규모가 큰 조합은 수십억원을 조합장이 떡 주무르듯 한다. 또 교육, 홍보활동 등 지도사업비도 일정 부분은 조합장이 재량껏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조합장의 파워를 높이는 것은 인사권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위사무소 업무 분장 권한을 쥐고 있기 때문에 직원들이 쩔쩔맬 수밖에 없다. 또 정규직 채용은 쉽지 않지만 2년 이하 계약직이나 기능직 파트타임 신규 채용은 조합장이 전권을 행사할 수 있다.
강력한 권한을 가진 조합장을 감시'견제할 수 있는 자체기구는 총회(대의원회)와 이사회를 통한 의결이 있지만, 이마저도 조합장이 총회'이사회 의장을 겸임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감사가 불가능하다는 것도 문제점이다.
결국 중앙회 내부감사를 통해 조합장의 부정비리를 걷어내고 있는 실정이다. 한 전직 조합장은 "중앙회도 전국 조합장들의 눈치를 본다. 중앙회 회장 선거권을 조합원 중에서 선출한 대의원이 쥐고 있기 때문"이라며 "결국 중앙회에서 이들 조합장을 '특별히' 모실 수밖에 없어 사후약방문이 되는 경우가 적잖다"고 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조합장의 권한과 혜택을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농업경영인연합회 경북도연합회 김말경 사무국장은 "금권선거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는 조합장 선거방식을 확 뜯어고치는 것은 물론 과열경쟁이 조합장의 화려한 각종 혜택에서 나오는 만큼 조합장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경북도연맹 최창훈 사무처장은 "가장 큰 문제점은 조합 운영시스템이 조합장과 직원들만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구축돼 있다는 것"이라면서 "조합원들이 조합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형식적인 절차만 있을 뿐 실질적인 수단이 없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 사무처장은 "조합 대의원들조차 거수기 역할에 머물고 조합원들도 조합에 거의 무관심하다"며 "대의원과 감사, 조합원들이 조합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을 철저히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합장에 대한 조합의 주체인 조합원들의 강력한 감시와 견제가 필수적이란 얘기다.
정욱진 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