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총선'지방선거와 함께 우리나라 4대 선거로 떠오른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11일 대구경북을 비롯해 전국에서 일제히 치러진다.
그러나 벌써 선거 이후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선거운동 기간 각종 불'탈법이 만연해 적잖은 후보자들이 사법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는 데다 선거인 명부마저 엉터리로 관리됐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선거 이후 당선무효나 사법처리 등 심각한 후유증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경북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9일 현재 경북도 내 조합장선거와 관련한 위반행위는 모두 94건으로 조사됐다. 경북도 내에서 선거를 치르는 조합이 158곳임을 감안하면 조합당 0.59건인 셈이다. 이 중 16건이 고발, 7건은 수사의뢰했으며, 5건은 사법당국으로 이첩된 상황이다.
경북선관위 관계자는 "사법당국의 수사대상에 있는 조합장 후보자가 만일 당선됐을 경우 추후 재판 결과에 따라 당선무효 또는 사법처리가 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의성에서 불거진 조합원 명부 관리의 허점은 선거 후유증의 심각성을 키우고 있다.
의성축협은 5일 긴급 이사회를 열고 전체 조합원 1천917명 중 40%가 넘는 772명의 무자격 조합원을 탈퇴시키고 이들에 대해 투표권을 박탈했다. 선거에 나온 한 후보가 "무자격자들이 상당수 선거에 관여하고 있다"고 주장해 전면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다.
경북농협 권태한 회원지원단장은 "이번에 조사된 772명은 모두 가축을 키우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지난해 5월 조합원 자격 조사 때 1년 안에 키우겠다는 계획서를 내고 조합원 신분을 유지했으나 약속을 지키지 않아 선거를 앞두고 걸러내게 됐다"고 설명했다.
구미에서도 지역 조합들이 자격 없는 조합원 정리를 소홀히 해 조합마다 평균 10% 이상 무자격 조합원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심지어 이미 사망한 조합원 상당수에 투표권을 부여해 허위 선거인 명부를 작성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짝퉁 조합원' 현상은 전국적인 모습이다. 경기도 여주시선거관리위원회는 9일 여주축협에서 무자격 조합원 561명을 탈퇴시켰다.
충남의 한 축협은 무자격 조합원들이 대거 선거인 명부에 올랐다는 의심을 받고 있어 현재 선관위가 조사 중이다. 지난해 말 자체 조사 결과에서 조합원 2천263명 중 1천238명(55%)이 무자격인 것으로 드러나자 해당 축협은 이들 중 200여 명만 탈퇴시키고 나머지는 '1년 내 가축을 키우겠다'는 계획서를 받은 채 그대로 둔 것이다.
상황이 이러하자 농협바로세우기연대회의는 9일 성명서를 내고 "무자격 조합원이 대거 포함된 명부를 바탕으로 선거를 하면 전국적으로 당선무효와 조합장 직무정지 가처분 등 각종 소송이 우려된다"면서 선거 중단을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친구끼리, 학교 동기끼리, 마을 사람끼리 치열한 선거전을 치르면서 농'산'어촌의 민심을 갈라놨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경북도 내 한 농협 관계자는 "불과 열흘 남짓한 기간에 선거운동을 해야 하다 보니 신인들은 무리를 해야 했고 그러다 보니 서로 지켜야 할 선을 넘어버린 경우가 셀 수 없을 정도였다"며 "동시선거를 하면서 선거판이 커지다 보니 후보자들이 마을 민심을 갈라놨다"고 말했다.
의성 이희대 기자 hdlee@msnet.co.kr
구미 정창구 기자 jungcg@msnet.co.kr
정욱진 기자 penchok@msnet.co.kr
포항 신동우 기자 sdw@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