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슈마다 엇박자 與 투톱…금리 인하에도 갈렸다

김무성 대표 "잘 내렸다" 유승민 원내대표 "우려된다"

새누리당 김무성(오른쪽)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가 지난달 2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김무성(오른쪽)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가 지난달 2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가 기준금리 1%대 인하를 두고 또 한 번의 시각차를 드러냈다. 여권 '김(K)-유(Y)' 투톱 체제가 꾸려진 후 벌써 여러 차례 벌어진 엇박자다.

이를 두고 당무를 이끄는 데 협력자 관계이면서도, 개인 정치 측면에서 보면 경쟁자일 수밖에 없는 두 사람이 사안마다 자기주장을 드러내는 차별화 전략으로 당내 입지 다지기와 자기 색깔 내기를 본격화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붙고 있다. 정치권에선 향후 각종 쟁점에서 'K-Y'의 본격적인 자기 색깔 내기가 더 도드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유 원내대표는 13일 주요 당직자회의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1.75%로 인하한 것과 관련, "전반적으로 가계부채 증가로 연결될 가능성이 많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발표 이후 "반가운 소식이고 아주 시의적절하다"며 환영의 뜻을 밝힌 김 대표와 비교되는 발언이다.

김 대표 입장에선 자신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하루 앞둔 11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전 세계적으로 통화 완화 흐름 속에 우리 경제만 거꾸로 갈 수 없다"며 한은이 금리 인하 카드를 내놔야 한다고 압박한 다음 날 금리 인하가 이뤄져 '말발'이 먹혔다며 흐뭇해 할 때, 유 원내대표가 "아니다"고 해버린 것이다. 유 원내대표는 11일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해서도 "정치권에서 금리나 환율 얘기하는 건 옳지 않다"고 비판한 바 있다.

앞서 김 대표와 유 원내대표는 '증세와 복지' 논란에 대해서도 '증세 논의에 앞서 복지 구조조정에 주력해야 한다'(김 대표)는 입장과 '증세 없는 복지는 불가능하다. 증세 논의를 원천 차단해서는 안 된다'(유 원내대표)며 시각차를 드러낸 바 있다.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의 수수 금지법) 처리를 두고도 김 대표는 "서민 경제에 미칠 부작용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신중한 자세를 취했지만, 유 원내대표는 "국민의 뜻이고 시대정신"이라며 긍정적인 법취지를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 정치권 관계자는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고, 때론 서로 시각차를 보일 수 있다"며 "'K-Y' 두 사람이 노련한 정치인이기 때문에 당내 주도권 잡기나 감정싸움 등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인 것 같다"고 했다.

최두성 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