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승객이 부르면 소형버스나 영업용 택시가 가서 태워주는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emand Responsive Transit'DRT) 도입에 나선다. 또 시내버스 노선입찰제도 추진된다.
시는 "준공영제 개혁시민위원회가 노선 개편을 전제로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와 시내버스 노선입찰제를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원칙적으로 합의함에 따라 구체적인 내용은 연구'검토 후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DRT는 오지노선을 다니는 대형 시내버스 대신 영업용 택시나 소형버스를 투입, 필요 시 가까운 정류소나 주요 지역까지 실어주는 교통 서비스다. 승객이 소수지만 운행하지 않을 수 없는 오지노선에 대형 시내버스를 정기적으로 투입하는 대신 필요할 때만 소형버스나 택시를 운행하는 교통체계다. 시는 DRT를 도입하면 시내버스 운행 비용을 줄이고, 해당 지역 주민의 교통 복지는 높이는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대구에서 운행되고 있는 오지노선은 9개 지역의 12개 노선(40대)으로 하루 평균 대당 40명 정도만 이용해 하루 대당 적자가 40여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는 해당 구'군에 보조금을 지급해 위탁하는 방법으로 DRT를 운영할 계획이며 요금은 시내버스 정도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승객이 많은 시간대나 오전'오후 각 한두 차례 등 기준을 정해 시내버스 운행을 최소화하고, 부족한 교통 수요는 소형버스나 영업용 택시 등을 통해 보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재 택시형 DRT는 강원도와 충남 아산'서천, 버스형 DRT는 전북 정읍시'완주군 등에서 시행하고 있고, 콜택시나 콜버스를 이용해 가까운 정류장이나 주요 지역까지 태워주고 있다.
또 입찰을 통해 일정기간 운영권을 위임해 노선을 운영하는 제도인 시내버스 노선입찰제 도입도 추진한다. 노선입찰제엔 최저가 입찰제와 총비용 입찰제가 있는데, 시는 신규 노선을 대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최저가 입찰제는 예상 운송수익과 비용의 적자보조금 최저금액을 제시한 버스사업자를 선정, 노선 운영권을 일정 기간 위임하는 형태로 수익금을 사업자가 관리할 수 있어 수입 증대 노력 및 여지가 있는 게 특징이다. 총비용 입찰제는 지자체가 수입금과 노선을 관리하고, 운행에 들어가는 총비용 최저금액을 제시한 버스사업자에게 운행을 위탁하는 것으로 수입에 대한 위험 부담이 없는 게 장점이다.
시 관계자는 "최적의 방안을 찾아내기 위해 용역 중"이라며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와 노선입찰제 모두 처음엔 한두 개 노선 정도씩 시범 운행해 검증을 거친 뒤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호준 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