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청와대, 새누리당이 15일 내수 활성화를 위해 적정 수준의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지만, 지역 기업들은 "그럴 만한 여력이 없다"며 난색을 보이고 있다.
기업 관계자들은 지역 기업에 대한 정부 및 대기업의 투자가 먼저 이뤄져야 임금 인상도 가능하다고 볼멘소리를 냈다.
◆대구 떠나는 근로자들 "지역 기업, 일은 많고 임금은 부족"
지역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김모(28) 씨는 지난해 1월 대구 달서구 한 중견 자동차부품업체에 취직한 지 8개월 만에 경기도의 한 대기업 전자회사로 이직했다.
김 씨는 하루 9시간 근무하는 조건으로 입사했지만 실제로는 오전 7시 30분에 출근해 오후 9시에 퇴근하는 등 추가 근무가 잦아 불만이 컸다고 했다. 야근 수당도 오후 8시 30분 이후 퇴근할 때만 단 1만5천원을 받았다. 월 초봉이 250만원으로 대구에선 적잖은 금액이었지만 입사 후 수년이 된 선배들도 비슷한 월급을 받는다는 걸 알고 이직을 결심했다.
김 씨는 "지역 기업은 일손이 적고 경기가 나쁘다는 이유로 적은 임금을 주고도 장시간 근무시킨다"며 "현재 회사에서는 초과급여를 포함해 이전 직장보다 매달 100만원을 더 받고 있다. 이직하길 잘한 것 같다"고 말했다.
대구의 젊은 근로자들이 적은 임금과 과도한 근로시간 탓에 대구를 떠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지역본부 자료(2014년 4월)에 따르면 대구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 급여액(정액 급여+초과급여. 상여금'성과급 제외)은 235만2천원으로 전국 16개 시'도 중 15위에 그쳤다. 전국 평균(283만8천원)보다 48만6천원이 적은 금액이다. 대구 근로자들의 지난해 월평균 근로시간도 191.2시간으로 전국 평균(187.9시간)보다 3.3시간이 많았다.
지난해 대구 근로자의 이직률은 2.8%로 전년(2.7%) 대비 0.1%포인트(p) 늘었다. 대구로 옮겨온 근로자 비율도 3.0%로 전년(3.1%) 대비 0.1%p 줄었다. 지역 기업 관계자들은 "매년 심화하는 지역 불경기 탓에 앞으로 노동력이 급속도로 이탈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역 기업들 "수익 줄어드는데, 임금 높이라니 난감"
지역 노동력 이탈을 막을 대안으로 임금 인상이 대두하고 있지만 지역 기업들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 정부의 지원 확대가 급선무"라고 입을 모았다.
근로자가 100여 명에 이르는 대구 서구 A섬유염색업체는 매년 적자가 심화되고 있어 임금을 올리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자신들과 직거래하던 국내외 의류 기업들이 최근 5년 새 중간 에이전트를 끼고 염색 섬유를 사들이기 시작한 바람에 납품 단가를 맞추느라 매출이 해마다 1천만~2천만원씩 줄고 있다는 것이다.
A업체 박모(57) 부대표는 "임금을 올리려면 적자를 감수해야 한다"며 "국내 대기업이 지역 중소기업과 직접 거래하기를 꺼리는 탓에 수익도 점차 줄고, 과거 사들인 장비를 30년째 쓰는 등 투자할 여력조차 없어 중국'동남아시아 동종업체보다도 경쟁력이 뒤처진다"고 했다.
북구 제3산업공단에 있는 B자동차부품업체도 비슷하다. 김모(57) 대표는 "앞으로 대기업들은 임금을 높이는 대신 지역 협력업체에 대한 납품 단가를 지금보다 더 크게 낮추는 방식으로 수익을 보전할 것"이라며 "이 같은 분위기가 바뀌지 않는 한 지역 기업에서의 임금 인상은 실현 불가능한 얘기다"고 했다.
그는 "모든 기업의 근로자 임금을 일괄 인상할 것이 아니라 지역 및 중소기업에는 임금 인상 시기를 일정 수준 늦추거나, 기업 규모에 맞춰 인상 폭에 차이를 두는 등 구체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준헌 기자 newsfor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