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취수원 안옮기면 '페놀 수돗물' 악몽 재현할수도"

대구 정치권·민관협의회 "구미공단 상류에 취수원 둬야…"

17일 구미시 구미상하수도사업소에서
17일 구미시 구미상하수도사업소에서 '대구취수원 이전 대구시'구미시 민관협의회' 제1차 회의가 열렸다.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17일 대구취수원 이전 해결을 위한 첫 단추인 '민관협의회'가 출범했다.

대구시와 구미시가 의견을 모아 민관협의회를 출범 시킨 만큼 대구시와 정치권 등은 민관협의회를 중심으로 취수원 이전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취수원 이전은 반드시

대구시는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이용하기 위해서 취수원 이전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물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어떤 것보다 안전이 최우선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구시민들이 수돗물에 대해 걱정을 하고 취수원 이전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관협의회 양명모 공동위원장은 "취수원을 이전해야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며 "현재의 대구취수원은 단 한 번의 사고로 오염에 처할 위험이 있다. 또 구미공단의 화학물질 가운데에는 일반적인 수질검사에서 확인되지 않는 미량유해화학물질이 취수원에 유입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대구의 취수원인 강정고령보의 상류 40㎞ 지점에는 구미하수처리장이 자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미공단의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만약 오염물질이 배출될 경우 5시간 만에 강정고령보가 오염될 것으로 분석했다. 양 위원장은 "강정고령보는 현재 댐처럼 어마어마한 양의 물을 보관하고 있어서 한 번 오염되면 고인물을 흘려보내는 데 한 달이 소요된다"며 "취수원 이전이 없으면 물을 마시지 못하는 경우가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위험은 구미공단 내 업체가 취급하는 화학약품에 있다. 양 위원장은 "1천800개의 구미공단 업체 가운데 수질검사에서 발견할 수 없는 새로운 화학물질이 대략 250개에 달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대구취수원을 구미하수처리장 하류에 두는 것은 건강을 위협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민관협의회 통해 결론 도출 필요

대구시는 민관협의회에 거는 기대가 크다.

대구시와 구미시의 대화 창구인 민관협의회가 꾸려진 만큼 갈등을 봉합하고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것으로 보고 있다.

권영진 시장은 "현재로선 취수원 이전 문제를 풀 다른 대안은 없다. 민관협의체에서 해결해야 한다"며 "반드시 해결한다는 자세로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관협의회 소속 민경석 교수(경북대 환경공학과)는 "지금까지 나온 자료들을 면밀히 검토해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지적하고 넘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정부가 마련한 예비타당성조사비를 사용하려면 올 상반기 안에 합의를 도출해 예타에 들어가야 한다"며 "민관협의회가 합의를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구미시가 국토교통부의 용역결과를 '거부'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취수원 이전할 경우 재산권이 침해될 수 있고 수량 부족으로 구미공단의 공장용수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를 두고 양 위원장은 "구미시가 반대하는 두 가지 주장은 이를 뒷받침할 만한 객관적인 근거가 없다"며 "취수원 이전으로 인해 재산권 침해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국토부 수자원개발과 박재규 사무관은 "대구의 수질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은 사실이다"며 "취수원 이전을 하지 않고는 수질사고를 막을 수 없다는 게 검토 용역 보고서 결과"라고 말했다.

조원진 새누리당 국회의원(대구 달서 병)은 "구미가 마음을 열어야 한다"면서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국토부 용역결과를 못 믿겠다고 하니 걱정이 된다"고 우려했다.

또 민관협의체의 역할과 관련, "우선 용역 결과를 두고 과연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를 부정적으로만 보지 말고 객관적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홍의락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대구 북구을 지역위원장)은 "민간 참여를 배제하고 대구시와 구미시의 공무원들이 허심탄회하게 대화해서 해결책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며 "책임 있는 사람들끼리 해결할 수 있는 공약수를 찾아야 한다. 참여하는 사람이 많으면 요구 사항만 많아지고 해결은 요원해진다"고 말했다.

노경석 기자 nk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