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 월성 시굴조사, 통일신라시대 건물지 6동·담장 12기 확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18일 월성 시굴 성과를 공개했다. 사진은 시굴현장에서 출토된 와편 등이다. 이채수 기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18일 월성 시굴 성과를 공개했다. 사진은 시굴현장에서 출토된 와편 등이다. 이채수 기자

신라 천년 왕궁터인 경주 월성(月城'사적 제16호)의 시굴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심영섭)는 지난해 12월 12일 고유제로 시작한 월성 내부 조사 일환으로 월성 동편 지역 5만7천㎡에 대해 실시한 시굴조사 성과를 18일 공개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이번 시굴조사 결과 기단과 초석(礎石'받침돌), 적심(積心'초석 밑 다짐돌) 등을 갖춘 건물지 6동과 담장 12기 등을 확인했다.

건물지 중 3호로 명명한 곳은 정면 12칸, 측면 2칸 규모로 길이가 28m에 이르며 폭은 7.1m인 초대형으로 드러났다.

장축을 동서 방향으로 마련한 이 건물터는 적심 간 거리가 정면 2.3m, 측면 2.1m로 조사됐다. 1.4×1.4m 크기인 적심 위에 0.75×0.6m 규모의 자연석 초석을 올렸다.

부속 시설로는 배수로와 담장이 함께 확인됐다. 3호 건물지와 평행한 담장은 폭 1.0m에 강돌을 깐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 이번 조사에서는 고배(高杯'굽다리접시)와 병, 등잔, 벼루, 막새기와, 귀면기와, 치미 등 통일신라시대 유물이 집중적으로 수습됐다.

심영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은 "이번 시굴조사는 지하 유구(遺構) 매장 구조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했다"며 "현재까지 확인한 건물지와 담장 흔적들은 유적 내 최상층에 위치한 데다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에 걸친 토기와 기와류가 출토되는 점으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 월성의 마지막 단계 모습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번 월성 조사는 천년 고도 경주의 역사정체성을 규명하고, 대통령 공약사항인 '경주 역사문화 창조도시 조성(왕궁 복원)' 이행 차원에서 시작됐다.

월성은 1914년, 일본 고고학자 도리이 류조(鳥居龍藏)가 성벽 하부 5개 층위를 발굴해 뼈화살촉과 뼈침, 탄화한 곡물, 토기편 등을 확인한 이래 주변에서 간헐적인 발굴조사가 있었지만, 내부에 대한 실질적인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월성은 신라 천년 수도의 궁성으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서기 101년 파사왕(婆娑王)이 처음 쌓았다.

경주 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