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울진의 핵발전소 주변에서 각종 발암 방사성 물질이 지속적으로 방출된 것으로 밝혀지면서 '영덕핵발전소 백지화 범군민연대'가 핵발전소 반대와 주민투표 실시를 강력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 환경단체들은 "핵발전소에서 방사성 물질이 지속적으로 방출되고 있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어떤 종류가 방출되고 있는지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다"면서 "이번에 구체적으로 어떤 방사성 물질들이 얼마만큼 방출됐는지 밝혀진 만큼 핵발전소 추가 건설 반대를 위한 범국민적인 운동을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최근 "국회 도서관에 소장돼 있는 '원자력발전소 주변 환경방사선 조사 보고서 연보'를 분석한 결과, 전국의 핵발전소에서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방사성 핵종들의 종류와 구체적인 방출량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이 밝힌 '최근 10년치(2003~2013년) 원자력발전소 주변 환경방사선 조사 보고서 연보에 따르면 갑상선암의 주요 발병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방사성 물질 요오드 경우, 월성'한빛'한울'고리 등 4개 원전부지에서 지난 10년간 약 55억Bq(베크렐'방사성 물질이 방사능을 방출하는 정도) 방출됐다. 방사성 물질인 세슘'스트론튬은 같은 기간에 7억6천만Bq이 나왔다.
환경운동연합 측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세슘 137과 스트론튬 90이 하루 약 600억(Bq)씩 태평양으로 방출되는 것과 비교하면 적은 양이지만, 기준치 이하라 할지라도 이것이 의학적으로 안전한가에 대해서는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이에 대해 영덕핵발전소 백지화 범군민연대는 "최근 환경단체 조사에서 울주군과 월성을 면접조사한 결과, 해녀들의 70% 가까이가 갑상선암 수술을 했다. 핵발전소와 갑상선암의 연관성을 충분히 의심해 볼 수 있다. 사고가 나지 않은 정상적인 핵발전소 주변에서 발암 방사성 물질의 지속적 방출이 확인된 만큼 영덕핵발전소 추진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대는 또 "영덕군민들의 건강에 직결되는 핵발전소 추진에 대해 주민의견 수렴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만큼 주민투표를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고 강력 주장했다.
한편 지난해 10월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이 고리원전 인근 주민의 갑상선암 발병 피해에 대해 "원전에서 방사성 물질을 배출한 한국수력원자력의 책임이 일부 인정된다"고 판결한 이후 부산'울산'경주 등 전국 원전지역 갑상선암 환자 500여 명(가족 포함 1천200여 명)이 추가로 참가한 공동소송이 진행 중이다. 영덕 김대호 기자 dhkim@msnet.co.kr
사진-원자력발전소 저지운동이 다시 불붙고 있다. 지난해 11월 당시 정홍원 총리가 영덕을 방문했을 때 한 주민이 핵발전소 반대 피켓시위를 하다 경찰들의 제지를 받고 있다.
김대호 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