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구를 비롯해 남구와 서구 등 구도심 지역의 성범죄 발생률이 전국 평균치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구 지역 연간 성범죄 발생률도 4년 사이 80% 이상 증가해 상대적으로 치안이 양호한 대구도 '성폭력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하 형사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전국 251개 시'군'구 지역의 성범죄(강간'강제추행)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대구 중구는 서울 중구에 이어 성범죄 위험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었다.
형사연구원은 성폭력 발생 범죄율(2010~2012년)과 인구밀도, 범죄 취약 여성 구성비, 외국인 비율, 인구이동률 등을 종합해 성범죄 위험도 지수를 개발했다.
전국 평균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을수록 성범죄 위험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대구 중구 성범죄 위험도는 196.67로 서울 중구(203.78)에 이어 전국 2위였으며 남구는 113.64, 서구는 110.77 수준으로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중구의 성범죄 발생건수는 2013년 264건, 2014년 238건으로 2년 평균을 내면 1.5일마다 한 건씩 성범죄가 발생하는 셈이다.
경찰 관계자는 "중구 성범죄 위험도가 높은 것은 정주 인구는 적지만 하루 유동인구가 100만 명에 이르고 젊은 층이 이용하는 클럽이나 주점 등 심야 유흥업소가 많은 것이 주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구도심인 남구와 서구의 성범죄 발생률이 높은 것은 상대적으로 좁은 골목길이 많아 범죄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아파트보다는 주택이나 빌라 등이 많아 범죄에 취약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북구와 수성구, 달성군의 성범죄 위험도는 90 이하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성범죄 안전 지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구 지역 전체 성범죄 발생건수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대구경찰청에 따르면 대구의 연간 성범죄 발생 건수는 2010년 869건에서 2012년 1천92건, 지난해에는 1천565건으로 매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성범죄 발생 건수가 매년 증가하는 것은 왜곡된 성 정보에 노출된 충동 범죄가 늘고 있는데다 성범죄에 대한 처벌 기준이 높아지고 피해자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느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성범죄 사각지대인 골목길에 가로등과 CCTV를 설치하는 등 '셉테드'(CPTED'범죄예방환경설계)를 적극 활용해 성범죄를 예방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경북 지역은 대체적으로 성범죄 안전지대였다.
인구가 많은 구미와 포항, 경산 등 대다수 시 지역의 성범죄 위험도가 전국 평균을 밑돌았으며 영양군은 성범죄 위험도가 68.53으로 전국에서 성범죄 위험도가 가장 낮았다.
김봄이 기자 bom@msnet.co.kr
[영상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