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도 수호 최전방 12인 전사 "파이팅"

道 독도정책관실 개설 10년, 4명으로 출발해 인원 3배로

이달 개설 10주년을 맞은 경상북도 독도정책관실 12명의 독도 수호 전위대가 일본의 독도 도발에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경상북도 제공
이달 개설 10주년을 맞은 경상북도 독도정책관실 12명의 독도 수호 전위대가 일본의 독도 도발에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경상북도 제공

경상북도가 일본의 독도 도발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청에 설치한 '독도정책관실'이 이달로 개설 10주년이 됐다.

경북도 독도정책관실은 지난 2005년 3월 16일, 전담요원 4명의 '독도지킴이팀'으로 출발했다. 일본 시마네현이 일제의 독도 불법 편입 100주년을 맞아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식 표현)의 날' 조례를 제정한 직후였다.

이날 탄생한 독도지킴이들은 이후 10년 동안 일본의 집요하고 지속적인 독도 공세에 맞서 다양한 영토 대책 사업을 추진하면서 독도 수호의 중심축 역할을 수행해 왔다.

이들은 이듬해인 2006년 10월 '경상북도 독도 거주 민간인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 독도 정주 주민에 대한 생계비 지원 근거를 마련했다. 이 조례는 2013년 독도 1호 사업자인 김성도 씨 부부가 '독도사랑카페'를 개설해 경제활동을 하는 것으로 연결됐다.

2010년에는 독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독도 명예주민증제도'를 시행, 지난해 말까지 1만7천132명(외국인 30개 국가 211명 포함)에게 주민증을 발급, 독도사랑운동을 확산시켰다.

10년이 지나면서 12명의 독도 수호 전위대로 꾸려진 독도정책관실은 전문적인 연구를 통해 독도와 관련해 전 세계인이 공감하는 논리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학술연구단체인 독도사료연구회를 운영해 일본 사료인 '죽도고' '죽도기사' '독도관계 일본 고문서1'을 완역하기도 했다. 또 '죽도 문제 100문 100답 비판서'를 펴내 독도 영토주권 논리 개발에도 기여했다.

경북도 이상욱 동해안발전본부장은 "경북도는 일본의 어떠한 도발에도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에 따라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면서 "특히 독도 관리, 주민 지원, 민간 차원의 대응 등 중앙정부에서 직접 할 수 없는 부분의 역할을 경북도와 독도재단이 함께 보완하고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욱진 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