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랄'이란 거대 시장을 잠식하기 위해서는 적잖은 숙제가 남아 있다. 복잡한 인증과정과 후발주자로서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게 급선무다.
우선 할랄인증을 받기까지의 복잡한 절차와 이에 따른 고비용이 문제다. 전 세계 300개나 되는 할랄인증기관의 인증기준이 제각각인데다 수입국이 원하는 인증 기준도 서로 다르다 보니 이에 맞추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국이슬람교중앙회(KMF) 할랄인증을 받았다 해도 막상 수출대상국에서 KMF의 할랄인증을 무시하면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KMF는 국내 유일한 할랄인증기관이다.
따라서 할랄식품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려면 정부가 할랄인증과 관련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기업과 정부 간 소통 창구를 넓힐 필요가 있다.
인증 문제가 해결돼도 별도의 생산 비용이 발생한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똑같은 식품인데도 인증기준을 맞추기 위해 아예 다른 생산라인을 따로 돌려야 하기 때문이다.
라면이 대표적인 예이다. 농심은 2011년 4월부터 부산에 할랄 생산시설을 갖추고 '할랄 신라면'을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등 9개 이슬람 국가에 수출하고 있다. 중동 수출용 라면에는 소고기 대신 콩단백질을 이용해 수프 맛을 내고 있다.
초코파이도 할랄인증을 위해 이슬람 율법으로 금지돼 있는 돼지기름 추출 젤라틴을 식물성 성분으로 대체했다. 롯데제과의 꼬깔콘도 별도의 할랄 생산시설을 돌린다.
이 같은 문제점은 정부도 인지하고 있다.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은 "국내 기관의 인증식품이 실제 중동에서 100% 인증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할랄식품이 국가마다 상황에 따라 인증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라며 "조속히 할랄식품 인증을 공동으로 구축하고 한국 내 할랄푸드 테마파크를 조성하는 작업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할랄식품 주요 공급국은 브라질,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 프랑스, 호주 등이 있으며 다국적 기업이 할랄식품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위스 네슬레는 1980년대부터 할랄 전담팀을 꾸려 운영해왔다. 미국의 사프론로드(케밥, 치킨너겟 등), 영국의 타히라(육류, 야채, 생선 등), 프랑스의 이슬라델리스(햄, 소시지, 면류 등) 등도 마찬가지로 오래전부터 할랄 시장을 거점화하고 있는 상태이다.
박상전 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