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철 건립비 대부분 대일청구자금
일본이 대한민국 발전을 도왔다니
소가 웃을 일, 우리부터 반성해야
우리가 국민기업 포스코를 갖게 되기까지 겪은 우여곡절은 말로 다하기 어렵다. 첫 번째 종합제철공장 건설계획은 포스코가 아니었다. 처음은 울산 중화학공업단지의 일부분으로 입안되었다. 상공부의 1961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는 울산 중화학공업단지 내에 정유, 화학 및 비료공장 등과 함께 종합제철소를 짓도록 제안했지만 필요한 돈을 구하지 못해 포기했다.
첫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지 1년 반 뒤인 1962년, 정부는 다시 비슷한 계획을 서독 철강생산자단체에 두 번째 제안했지만 그들을 설득하지 못해 또다시 실패했다. 세 번째 도전은 박정희 대통령이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 소재 철강공업단지에 시찰을 갔을 때였다. 우리 정부 시찰단은 현지에서 한국종합제철회사 설립차관단(키사, KISA)을 구성했다. 키사는 미국 피츠버그에 있는 철강회사 코퍼를 선도회사로 하여, 5개 국가 8개 철강생산자들로 구성되었다. 키사가 잘 진전되어 1968년 4월 1일 일단 '포항종합제철회사' 창립에는 성공했다.
그러나 끝이 아니었다. 포항종합제철회사를 실제로 짓기 위한 철도, 공업용수 등 지원시설을 지을 차관을 신청했으나 또다시 실패로 끝났다. 세계은행이 한국의 철강산업이 비교우위가 없고, 겨우 국민소득 82달러를 벗어난 마당에 제철소는 언감생심, 시기상조라며 차관을 거절했다.
일부 수확도 있었다. 워낙 여러 번 '차관 퇴짜'를 당하다 보니 사업을 성공시키려면 무엇보다 경제적 타당성 내지는 정부가 확실히 밀고 나간다는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는 자세를 갖게 되었다. 미국과 유럽에서 거듭 퇴짜를 맞고 방향을 틀어서 일본을 겨냥했다. 1969년 한일각료회담에서는 한일국교정상화 협정(1965년 6월)에 따라 한국이 받도록 된 대일 청구권 자금의 상당액을 제철공장을 짓는데 쏟아붓기로 했다. 거기에 추가해서 상업차관의 도입에 관해서도 일본 정부와 합의했다. 1969년 12월 3일의 일이다.
이후 1970년 4월 포철 건설에 착수하여, 1973년 7월 3일 드디어 포항제철은 완공됐다. 포항 앞바다에서 산업의 쌀, 철강 제품이 막 쏟아져나오기 시작한 '철강의 승리'가 이뤄진 것이다. 당시 일본에서 들어온 자금은 대부분 대일청구권의 배상금이고, 일부 상업차관이 따라 들어오기는 했다. 하지만, 일본이 이를 빌미로 한강의 기적이 일본의 덕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 국민에 대한 모욕이다.
종전 이후 대한민국은 지금의 소말리아처럼 1인당 소득이 82달러에 불과한 세계 최빈국이었다. 하지만, 일본이 상업차관 몇 푼 빌려주었다고 해서 한강의 기적에 기여한 것처럼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를 바꾼 것은 후안무치의 극치에 다름아니다. 일본이 꼭같은 자금을 지금의 소말리아에 빌려주었다고 치자. 소말리아가 대한민국처럼 세계 10대 무역대국에 들어갈 정도로 기적을 이뤄낼 수 있는 게 아니다. 물론 소말리아를 얕보는 얘기는 아니다.
대한민국과 소말리아가 꼭같은 환경에 처해있었다고 하더라도 그를 헤쳐나가는 유전자가 다르다는 것이다. 지금 대한민국은 2013년 세계에서 7번째로 20-50클럽(소득 2만달러, 인구 5천 만 명)에 가입한 데 이어 곧 30-50클럽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20-50 클럽에 가입한 선진 7개국 가운데 남의 나라에 쳐들어가서 식민지를 만든 제국주의 국가가 아닌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하다.
종전 이후 대한민국의 급성장에 전 세계가 주목하는 또 다른 이유는 지구 상 유일의 반만년 평화국가가 선진국 진입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낯뜨거운 작태에 분노하지 말고, 우리 안의 혼란을 수습하여 평화국가로서 선진국이 되는 세계사적인 기념비를 향해 우리 모두 나아갈 때다. 비리 수사받는 포스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