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공동화 위기의 대학 캠퍼스, 긍정적인 활용방안 찾아야

대학 구조개혁이 발등의 불로 떨어지면서 수도권 대학에 비해 평가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는 지방 대학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당장 2018학년도 입시부터 대입 정원이 고졸 학생 수를 초과하는 역전현상이 벌어진다. 교육부의 단계적 퇴출 등급 중 하위그룹에 절반 이상이 몰려있는 지방대로서는 대학의 명운이 걸린 문제가 된 것이다.

대학의 구조조정이 지방대의 비교우위를 살리면서 지방대의 건전한 육성과 함께 추진되어야겠지만, 적어도 현재의 방식대로라면 문을 닫아야 할 대학이 속출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37개 대학이 밀집한 경북지역의 위기감은 더욱 심각하다. 일부 대학은 수도권에 새 캠퍼스를 만드는 것으로 탈출구를 찾지만, 상당수 대학 캠퍼스가 텅텅 빌 위기에 놓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때에 경북도가 빈 공간으로 남을 대학 건물을 공익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은 발 빠른 대응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학생들이 떠난 유휴 캠퍼스를 창업공간으로 활용해 빈 건물을 줄이고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며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게 하자는 전략이다. 경북도는 이미 경산의 한 대학을 대상으로 '한국형 창업실리콘밸리' 조성 계획을 세우고 타당성 조사에 들어갔다.

경북에서는 고령에 있던 가야대가 김해로 캠퍼스를 이전하면서 대학 건물이 10년 넘게 텅 비어 있다. 이 여파로 주변 상가와 원룸까지 황량한 상태로 남았다. 학생들이 떠나면서 인구가 줄고 지역경제가 침체되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겪고 있는 것이다. 반면 폐교된 경산의 아시아대학 캠퍼스는 인근의 한의대가 인수해 한방산업 관련 캠퍼스로 만들었다. 특화된 용도로 잘 활용한 사례이다.

구조조정의 직격탄을 피하지 못해 빈 공간으로 남을 대학 캠퍼스를 활용하는 문제는 쉬운 일이 아니다. 대학은 지역 공동체 정서와 맞물려 있으며, 재단의 재산권 행사와 대학 부지의 용도 변경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텅 빈 캠퍼스의 오랜 황폐화를 막기 위해 지자체는 물론 정부가 나서야 하는 이유다. 국책사업 추진 지원과 공익사업으로 활용을 전제로 국회의 관련 법령 정비 등 거시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