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균 삼성전자 IM부문 사장이 지난해 '연봉 킹'에 올랐다. 신 사장은 145억7천만원을 받아 전문경영인 중에 1위에 올랐다. 퇴직금을 포함한 전체 금액에서는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이 215억7천만원(퇴직금 108억2천만원 포함)을 받아 최고액을 기록했다.
31일 금융감독원으로 제출된 12월 결산법인들의 201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3위는 93억9천만원을 받은 권오현 삼성전자 DS부문 부회장이었다. 4위와 5위는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과 손경식 CJ그룹 회장이 차지했다. 조 회장은 61억원, 손경식 회장은 56억원을 연봉으로 받았다.
지난해 보수공개 당시 301억원으로 1위에 올랐던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담철곤(53억원) 오리온 회장 등의 급여가 올해는 공개되지 않았다. 삼성전자의 이건희 회장, 이재용 부회장도 마찬가지. 재벌그룹 오너 일가 CEO들이 연봉 공개 의무를 피하기 위해 등기이사직에서 사임했기 때문이다.
법정 심판대에 서면서 등기임원직에서 사임한 경우도 있다. 최태원 SK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현재현 전 동양그룹 회장이 여기에 속한다.
2013년 기준 연봉 301억원을 받아 최고 연봉을 기록했던 최태원 SK 회장은 이번 순위에서 빠졌다. 최 회장은 지난해 초 SK,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 C&C 등 4개 계열사의 등기임원 자리에서 사임했고, 비등기임원인 SK, SK하이닉스 등에서도 보수를 받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14위(47억원)에 올랐던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구속집행 정지상태여서 지주회사인 CJ와 핵심계열사인 CJ제일제당을 제외하고 모든 계열사 등기이사직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땅콩 회항' 사건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 조현아 대한항공 전 부사장은 퇴직금을 포함해 14억7천583억원을 받았다. 한편 하춘수 전 대구은행장은 15억1천900만원을 수령했다.
최창희 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