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공무원연금 개혁을 위한 실무협의기구 구성에 합의했지만 무게중심은 국회 공무원연금 개혁 특별위원회에 쏠려 있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대구 동을)가 2일 오후 열린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특위가 중심이 돼 공무원연금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말한 것도 합의안 입법권을 가진 특위가 공무원연금 개혁을 이뤄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실무기구 구성이 지지부진했던 이유는 활동 기간 설정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여야와 정부, 공무원 단체 등 단체별 자체 개혁안이 큰 틀을 드러낸 만큼 이를 중심으로 기간을 정해놓고 논하자고 주장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기간 설정 자체에 반대했다. 하지만 이날 열린 양당 긴급 회동에서 새누리당은 "기간을 못 박지 말자"는 야당의 요구를 수용했다.
실무기구 활동 기간을 명시하지 않았다고 해서 무한정 논의가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특위 활동 기한은 5월 2일까지다. 이 시한 내에 실무기구에서 합의안이 나오면 특위로 넘기고, 나오지 않으면 특위가 결정하는 것으로 여야가 합의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특위가 원만하게 굴러가려면 적어도 5월 이전에 실무기구에서 단일안이 넘어와야 한다. 이렇게 계산하면 실무기구 활동 기간은 한 달도 안 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실무기구 위원 구성도 간소하다. 참여 위원은 정부 관계자 2명, 공무원노조 2명, 여야가 추천한 전문가 2명, 여야가 합의한 공적연금 전문가 1명 등 모두 7명으로 여야 국회의원들을 제외했다. 국민대타협기구 위원 수는 총 20명이었다.
새정치연합 안규백 원내수석부대표는 "어차피 특위에 의원들이 참여하고 양쪽 균형을 맞추기 위해 빠졌다"고 의원들이 빠진 이유를 설명했다.
실무기구가 한 달도 안 되는 기간 안에 단일안을 만들어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일각에서 공무원연금 개혁을 위한 국민대타협기구가 90일간 활동하면서 합의안을 만들어내지 못했는데, 이를 이어 후속 논의를 하는 실무기구 역시 똑같은 문제를 반복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야는 실무기구가 단일안 마련에 실패할 경우를 대비해 특위 운영에 힘 쏟을 모양새다. 조해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가 "실무기구에서 안이 만들어져야 특위가 활동하는 것은 아니다. 실무기구에 중심을 두고 가다간 여야 모두 낭패를 볼 수 있다"고 한 것도 특위 활동에 힘을 실을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편 특위와 실무기구는 오는 6일 첫 회의를 동시에 연다.
황수영 기자 swimmi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