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유승민 원내대표 연설…부자·대기업 증세·'화합의 정치' 천명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8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8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보수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한다. 고통받는 국민의 편에 서서 용감한 개혁을 하고 싶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8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보수를 혁신하는 '여당판 제3의 길'을 제안했다.

유 원내대표는 이날 "새누리당은 가진 자, 기득권 세력, 재벌 대기업의 편이 아니라 고통받는 서민과 중산층의 편에 서겠다"고 밝혔다.

보수 진영의 가치는 유지하되,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기득권층에서 사회적 약자층으로 크게 이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진보적 보수'의 새 방향을 제시한 유 원내대표는 법인세 등 부자와 대기업에 대한 증세,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의 하청단가 인상,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강화 등 다소 파격적인 경제정책을 제안했다. 이는 여권 내 '주류 보수'와 다른 '경제 좌클릭'이었다.

유 원내대표는 이날 연설에서 평소 자신이 견지해 온 '경제는 중도, 안보는 보수' 기조를 바탕으로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특히 중도 좌파적 정책까지도 과감하게 내세우며 새누리당도 시대 흐름에 맞춰 혁신하고 변화해 나갈 것임을 다짐했다.

이는 최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경제'안보정당'을 캐치프레이즈로 내걸고 정책 노선의 우클릭을 모색하는 것과 대조를 이뤘다.

또 유 원내대표는 '증세 없는 복지'가 불가능하다는 평소 소신을 거듭 밝히며, 궁극적인 지향점은 '중(中)부담 중(中)복지'가 돼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대선공약인 134조5천억원의 공약가계부를 더 이상 지킬 수 없는 점을 반성한다고 고백하면서 증세를 통한 중부담 중복지를 논의하기 위한 여야 합의기구 설치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여권에서 그동안 부정적이었던 법인세 인상의 성역 없는 검토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재벌 개혁에 대해 그는 박근혜정부 출범 당시 기대를 모았던 경제민주화와 재벌'대기업에 대한 부패 척결 의지가 시들어가고 있다는 실망 속에 기존 여권의 주장보다 한층 강화된 개혁 의지를 천명했다.

유 원내대표는 "성장의 해법은 전 분야에 걸친 개혁으로 일방의 희생만 강요해선 안 된다. 재벌도 개혁에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재벌'대기업은 지난날 정부의 특혜와 국민의 희생으로 오늘의 성장을 이뤘다. 가장 강력한 재벌정책은 재벌도 보통 시민들과 똑같이 법 앞에 평등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여당의 프리미엄을 버리고 야당과 합의의 정치도 강조했다. 세월호 참사 후속 대책, 양극화 해소, 공무원연금 개혁, 저출산, 청년실업, 가계부채 등 심각한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보수와 진보, 여야 등 진영의 논리를 벗어난 '통 큰' 합의가 필요함을 제안했다.

1주기를 맞는 세월호 희생자'실종자를 감싸 안는 것도 잊지 않았다. 다만 북핵, 북한 인권, 사드 등 안보 이슈에 대해서 만큼은 "정통 보수의 길을 확실하게 가겠다"고 단호히 밝히며 야당과 차별화를 했다.

최두성 기자 dschoi@msnet.co.kr

[영상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