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열리는 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가 자칫 국제적 망신을 불러올 수도 있다는 우려가 터져 나오고 있다. 선수촌이 한창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중앙정부가 당초 약속한 선수촌 조성 비용 국비 지원분 100억원 전액을 돌연 못 주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나온 것이다.
160억원(국비 100억원'시비 60억)이 들어가는 세계군인체육대회 문경선수촌은 이미 착공돼 이달 현재 17%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국비 100억원의 집행기관인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화부)는 최근 이 돈을 줄 수 없다는 입장을 국방부 조직위와 문경시 등에 통보해왔다.
국방부 조직위와 이한성 국회의원(문경'예천)은 지난 2월 국민체육진흥기금 200억원을 확보해 이 중 100억원을 문경선수촌에 사용하고 100억원은 대회운영비로 사용하는 안을 문화부와 합의했다고 밝혔었다.
이에 따라 조직위는 문화부로부터 돈을 받아 문경시에 10일까지 보내기로 했고 문경시는 이를 믿고 지난달 23일 신기 제2일반산업단지내에 1천500명이 들어갈 수 있는 선수촌 공사에 들어갔다. 본부동은 시비 60억원을 부담할 방침이지만 대회 기간(10일) 동안 모두 350개를 임대, 35억원을 지급할 계획인 캠핑용 캐러밴 형태의 숙소 및 편의 시설인 식당, 매점, 은행, 주차장 등의 조성비용은 모두 국비로 충당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문화부는 최근 "역대 국제대회에서 체육진흥기금으로 선수촌 건립비를 지원한 전례가 없다. 기금 성격과 집행원칙에 위배된다"는 이유를 들어 자금 집행 불가를 통보했다. 체육진흥기금으로 선수촌을 조성하는 것은 안 된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혔지만 정치권과 국방부 조직위가 이를 무시하고 국비 지원을 무리하게 추진했다는 것이 문화부의 설명이다.
문경시 관계자는 "체육진흥기금은 국방부 조직위가 선수촌 조성을 위해 사용하기로 이미 결정했고 이를 근거로 공사가 이미 착공된 만큼 조직위와 문화부가 이 부분을 반드시 해결해줘야 한다"며 "이미 공사를 시작한 만큼 예정대로 공사를 강행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문경 군인체육대회는 대회 유치 이후 끊임없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대회를 불과 5개월여 앞둔 이달 현재 지방비 분담 문제도 아직 결론나지 않아 국방부 조직위와 경상북도 간에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인 데다 이번에는 국방부 조직위와 문화부 간에 체육진흥기금 집행을 놓고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
문경지역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문경이 국제 망신의 한가운데에 서는 일은 반드시 막아야 하며 지역 국회의원, 도지사'시장이 중앙정부를 설득해 원만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경 고도현 기자 dory@msnet.co.kr
[영상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