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6 출시 이후 이동통신사들이 앞다퉈 보조금을 인상했지만 효과는 크지 않았다. 특히 상한액에 육박할 정도로 보조금을 대폭 인상한 KT조차 경쟁사를 압도할 만한 실적을 거두지 못하면서 보조금이 소비자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갤럭시S6 출시 후 18, 19일 이동통신시장에서는 2만593건(알뜰폰 제외)의 번호이동이 이뤄졌다. 11, 12일 1만5천127건 번호이동에 비해 37.5%가량 늘었다. 그러나 지난 12일 이동통신 대리점, 판매점 등이 영업을 안 한 점을 고려할 때 번호이동은 18일 1만2천804건, 19일 7천789건으로 11일 하루치에도 못 미친 셈이다. 그만큼 거래가 저조했다는 의미다.
업계 관계자는 "단통법상 상한액 33만원 자체를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고객이 많고, 그나마 고가 요금제를 조건으로 하기 때문에 보조금 인상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풀이했다.
최근 이동통신 시장은 전례 없는 불황이다. 가입자 5천700만 명으로 포화상태에 이른 가운데 지난해 10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이후 규제가 엄격해져 예전처럼 이벤트성 보조금 혜택의 길이 막혔기 때문이다. 그만큼 소비자들은 번호이동'기기변경에 나서지 않는다는 뜻이다. 최병고 기자'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