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의 2014년 농가경제조사 결과, 경북도 농가당 평균소득은 3천698만7천원으로 제주 4천270만원, 경기 3천882만2천원에 이어 3위였다. 지난 2011년(2천658만7천원) 9위에서 6단계나 올랐다. 2012년 3천173만9천원, 2013년 3천489만4천원을 넘어 3년 연속 최고치다.
경북의 농가소득 증가는 순수한 영농활동에 따른 가구당 농업소득이 늘었기 때문이다. 2011년 913만5천원에서 매년 늘어 2012년 1천345만8천원, 2013년 1천422만6천원, 지난해는 1천583만6천원이었다. 지난해 전국 평균(1천30만3천원)보다 54% 많았다.
또 경북의 농가당 평균 부채는 되레 줄었다. 2012년 2천183만1천원, 2013년 1천767만1천원, 지난해 1천537만1천원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전국 농가부채는 2013년보다 오히려 51만5천원이 늘어 2천787만8천원에 이르렀다. 경북 부채는 전국보다 1천250만7천원이나 적었다.
경북 농가는 농사로 수입은 불리고 빚은 줄이는 바람직한 영농구조를 갖춰 가고 있다. 농업 비중이 큰 경북에 반가운 소식이다. 경북은 2013년 기준 농업 총생산액 44조6천88억원의 16%를 차지해 제1위를 자랑하는 농도(農道)다. 큰 덩치에 걸맞은 건전한 영농구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농민과 경북 농정이 함께 일궈낸 결과다. 우리 농촌은 우루과이라운드(UR)와 세계무역기구(WTO),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농산물 시장개방 압력에 시달렸다. 특히 농도인 경북의 시련과 고난은 더 컸다. 이에 다양한 농정이 마련됐고 농민의 적극적인 협조로 성과도 조금씩 보이고 있다.
2007년부터 지금까지 1만여 명의 농업전문 CEO를 배출한 농민사관학교와 2만4천여 명의 후계농업인양성이 그것이다. 사관학교는 2020년까지 2만 명을 졸업시킬 계획이다. 또 2013년 3개 마을로 시작, 올해까지 8개 마을로 늘린 '경북형마을영농'도 기대다. 참여농가 공동영농과 마을공동체 운영방식으로 벌써 소득증대 효과를 보고 있다.
경북도는 끊임없는 혁신으로 '소득은 늘고 빚은 줄이는' 경북농업을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 이는 귀농인구 늘리기에도 큰 도움이 돼 살기 좋은 경북 만들기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