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기본만 지켜도 시내버스 기사 음주운전 막는다

지난 26일 아침 대구 북구 침산동 무림제지 앞 도로에서 버스가 인도로 돌진해 승객과 보행자 등 6명이 다치는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 운전기사는 사고 지점 몇 정거장 전부터 몸 상태가 좋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경찰의 음주 측정 결과 혈중 알코올 농도가 0.048%였다. 전날 과음을 한 뒤, 술이 덜 깬 상태에서 시내버스를 몬 것이다.

버스 운전기사의 음주운전은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철저한 예방이 필요하다. 특히 각 지방자치단체는 경찰의 협조로 수학여행이나 관광버스기사를 상대로 사전 음주측정 단속까지 벌이지만, 이런 사례는 끊이지 않는다. 최근 대전에서는 초등학교 현장체험과 수학여행 버스 기사에 대한 사전 음주측정에서 2명이 적발됐고, 부산에서는 시내버스 기사의 음주운전이 승객의 신고로 적발됐다.

문제는 수많은 사건'사고가 일어나도 아직 고쳐지지 않은 안전 불감증이다. 시내버스 기사의 음주운전만 해도 예방은 너무나 쉽다. 이미 전국버스공제조합은 2013년 각 버스 업체에 음주측정기를 지원했다. 버스기사가 출근한 뒤 회사에 비치된 이 음주측정기를 한 번 불고 배차 책임자가 확인하면 된다. 이러한 간단한 절차도 지키지 않으니 음주운전 사고가 반복하는 것이다. 이번 사건만 해도 휴일이 아니었다면, 자칫 참사로 이어질 뻔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대구시는 운전기사 관리는 사업자 몫이라는 태도이고, 사업주는 회사가 운전기사의 상태를 일일이 검사하기 힘들다는 변명이다. 더구나 음주 측정은 자율적인 사항이어서 회사가 관리하지 않는다고 한다.

안전사고는 가장 기본적인 것만 철저하게 지켜도 대부분 막을 수 있다. 더구나 시내버스는 무엇보다 안전이 최우선인데도 이를 내버려뒀다는 것은 누구의 책임을 따지기조차 구차하다. 대구시는 시내버스 기사의 음주나 지병 여부 등을 제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음주 운전기사가 적발되는 회사에 대해서는 개인뿐 아니라 회사에 대해서도 강력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 또한, 버스회사도 다시는 음주운전 시비가 일어나지 않도록 기사를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참사가 벌어지고서 하는 안전 점검은 너무나 늦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