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홈플러스 인수전 사모펀드만 후보…경영능력 의심돼

국내 유통업계와 컨소시엄 필요

국내 2위 대형마트인 홈플러스 인수전에 사모투자펀드와 국내 유통업체 간의 합종연횡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자금력을 가진 사모펀드가 전략적 투자자로 선정됐으나, 경영능력이 달린다는 핸디캡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국내 유통업체와 컨소시엄을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 대주주인 영국 테스코와 매각주관사인 HSBC증권은 최근 외국계 사모투자펀드인 칼라일, 어피니티 이외에 국내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와 골드만삭스PIA를 적격인수후보(쇼트리스트)로 선정했다. 홈플러스 인수 첫 관문에 사모펀드만의 리그가 펼쳐진 셈이다. 유일하게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했던 오리온그룹은 일단 배제됐으며 농협과 현대백화점 등 국내 대형 유통업체들도 추이를 지켜봐야만 하는 처지다.

그러나 이들 대형 유통업체가 합류할 가능성도 있다. 테스코가 1차 관문을 통과한 인수 후보들을 상대로 한 달여 실사를 거쳐 본입찰에 들어간 뒤 연말에 가서야 인수 최적격 후보를 선정하는 탓에 변동 여지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사모펀드는 매장만 하더라도 전국 140개에 달하는 홈플러스를 운영할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론이 제기되면서 국내 대형 유통업체와의 '협업'이 절실할 것이란 분석이다. 유통 전문가들은 "사모펀드는 유통업체의 경영능력을 빌려 홈플러스 인수 후 조기에 경영을 정상화한 후 재매각할 때 컨소시엄 참여 업체가 인수토록 하는 전략을 구사할 개연성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금력은 달리지만 경영 노하우는 충분한 국내 대형 유통업체들로서도 '나쁘지 않은' 딜"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유통업계의 고위 임원은 "테스코가 홈플러스 매도가격으로 8조원대 이상을 불렀고 여러 가지 여건을 감안할 때 그 가격을 수용할 국내 유통기업은 선뜻 나서지 않을 것이다. 예비 입찰에 선정된 사모펀드와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건 괜찮은 조건일 수 있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노동조합이 사모펀드로의 매각을 절대 반대한다고 나선 점도 사모펀드가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노조와의 갈등 이외에도 고객의 개인정보를 불법 수집'판매해 231억7천만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로 기소됐고 회원 고객들도 수억원대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한 상황인 점도 향후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상준 기자 new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