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與 지도부 "당 분열 더는 안돼" 사퇴 권고

거취 논란 장기화 차단 강수

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유승민 원내대표가 원유철 정책위의장과 귀엣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유승민 원내대표가 원유철 정책위의장과 귀엣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지도부가 결국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와 관련한 출구전략으로 '원내대표 사퇴 권고 결의안'을 선택했다.

자신의 거취에 대해 입을 다문 유 원내대표에 대해 더는 기다려 줄 수 없다고 지도부가 사실상 결론을 내린 것이다. 그럼 왜 사퇴권고 결의안일까.

유 원내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논란이 장기화되면 당내의 분열이 더 격화될 수밖에 없는데다, 이미 여러 차례 유 원내대표가 스스로 물러날 뜻이 없음을 확인한 이상 어떻게든 자리에서 물러나게 해야 한다는 데 지도부의 뜻이 모였고, 가장 후폭풍이 덜한 방법이라 본 것이다.

만약 재신임을 묻는 찬반 투표로 갈 경우 결론이 어떻게 나든 그 여파가 한쪽엔 치명적일 수 있다고 지도부는 판단했을 가능성이 크다. 투표 시 유 원내대표에게 표가 몰리면 사퇴압박을 한 박 대통령과 친박계로선 더는 그의 사퇴를 주장할 명분을 잃게 된다. 이는 또한 청와대의 뜻에 여당이 반기를 드는 모양새가 된다. 무엇보다 친박계와 비박계가 붙은 원내대표 경선(이주영-유승민)과 국회의장 경선(황우여-정의화)에서 친박계가 패한데다, 박 대통령의 유 원내대표 비판발언 후 열린 의총서 드러났듯이 표결로 갔을 때 친박계의 표심 확보도 미지수다.

반대로 유 원내대표가 의원들의 지지를 받지 못할 경우, '원칙을 지켰다'는 명분은 가질 수 있으나 개인적으로 정치생명에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한 의원은 "표결로 가서 유 원내대표가 지면, 끝까지 대통령에게 반발했다는 이미지를 심어주고, 결국은 내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기 어려운 상황에 몰릴 수 있다"고 했다.

사퇴권고안은 이런 점에서 가장 자연스러우면서도 양쪽에 피해가 덜한 방법이라는 것.

일단 당 지도부 구성원들과 친박계가 합심해 유 원내대표를 강력히 압박하고 나선 만큼 8일 의총에서 사퇴 권고 결의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김 대표는 의총에서 권고 결의안 채택 여부를 표결에 부치기보다 어느 정도 다수의 동의를 얻는 것으로 판단되면 채택된 것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쓸 것으로 알려졌다.

최두성 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