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그리스 사태 후폭풍, 우리 경제 사활이 걸린 시험대다

그리스 사태의 불똥이 우리 경제에까지 튀면서 후폭풍이 거세다. 6일 그리스가 국제 채권단의 긴축안을 거부했다는 국민투표 결과가 전해지자 증시가 연이틀 크게 하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큰 불안감에 휩싸였다. 이와 더불어 유럽연합(EU)에 대한 수출까지 적잖은 타격이 예상되는 등 우려대로 한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현실화되고 있다.

당장 국내 증시가 그리스 사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금융권에 큰 충격을 불렀다. 6일 세계 증시가 일제히 폭락한 가운데 코스피도 전날에 비해 50.48포인트(2.40%)나 떨어져 2012년 6월 4일 51.38포인트(2.80%) 하락한 이후 3년여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7일에는 하락폭을 다소 줄이기는 했지만 여진이 이어져 13.64포인트(0.66%) 내린 2,040.29로 장을 마감했다. 금융당국과 경제 전문가들은 그리스 사태가 몰고 온 단기적인 충격은 피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그리스 사태가 유로존 탈퇴(그렉시트) 등 최악으로 치달으면 세계경제의 동반 침체를 불러 금융 불안과 수출 감소 등 한국 경제에 미칠 파장이 커질 수밖에 없다.

가장 우려되는 대목은 유럽에 대한 수출 감소다. 올 상반기에만 대유럽 수출액은 14.0% 감소했다. 여기에 그리스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유럽 금융권 전체가 부실에 빠지고 유로화 약세에다 EU 역내 소비와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다. 이는 우리 기업의 유럽 수출길이 막힌다는 뜻이다. 가뜩이나 엔저와 유로화 약세로 우리 수출기업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마당에 유로화 가치가 더 떨어진다면 수출은 말 그대로 사면초가다. 만일 그리스의 전면적인 디폴트(채무불이행)와 유로존 탈퇴가 현실화하면 한국 경제가 곤두박질 치는 건 시간문제다.

이런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정부는 그리스 사태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대책들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특히 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책 등 즉각 동원할 수 있는 비상계획도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단계별 대응력을 키우고 금융 불안감을 조기에 잠재우는 것만이 그리스 사태로 인한 경제 위기를 피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