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26일 당 혁신위원회의 국회의원 정수 증대 발표로 난처한 지경에 빠졌다.
혁신위는 이날 표의 등가성과 대표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권역별 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 연동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따라 지역구 국회의원과 비례대표 국회의원의 비율을 2(246명)대 1(123명)로 조정하면서 국회의원 정수를 369명으로 늘리는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혁신위가 국민적 여론이 의원 수 확대에 부정적인 상황임을 뻔히 알면서 불필요한 시기에 부적절한 발표를 하는 바람에 당을 궁지로 몰아넣었다는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더욱이 혁신위가 지난 24일 여당이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데 이어 매우 민감한 사안인 의원 정수 문제까지 사전 조율 없이 건드리자 새정치연합에 반(反)개혁적 이미지만 덧씌우고 있다는 비판론이 비등하고 있다.
비주류의 한 재선 의원은 "우리가 먼저 치고 나갈 이유가 없는데 전략적으로 적절치 않다"며 "혁신위가 하라는 것은 안 하고 엉뚱한 것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3선 의원도 "국민 보기에 당 혁신은 놔두고 밥그릇을 챙긴다고 하지 않겠느냐"며 "국민 정서가 있는데 충분한 논의도 없이 뜬금없이 결정해놓고 따르라는 것은 자가당착"이라고 비판했다.
일각에서는 혁신위를 없애자는 주장까지 나온다. 비노(비노무현) 성향의 조경태 의원은 "당을 혁신하라고 혁신위를 만들었는데 혁신위가 당을 망치는 반(反)혁신적 발상을 보이고 있다"며 혁신위 해체를 요구했다.
주류 측도 곤혹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여론전이나 대여 협상 전략 모두 야당에 불리한 상황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도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의 주장을 "혁신이 아니라 반(反)혁신, 반(反)개혁적 발상", "정치 개악"이라며 맹공했다. 이장우 대변인은 "정치권에 대한 국민 불신이 높은 상황에서 의석수를 늘리자는 것은 국민 배신행위"라고 말했다. 유광준 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