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9세 청년 실업자가 6월 말 기준으로 41만 명이라고 26일 통계청이 발표했다. 관련 통계를 시작한 2000년 이후 상반기 기준으로 가장 큰 규모로 최근 2년 새 청년 실업자가 10만 명이나 늘었다. 경기 침체에다 지난해 취업자 수가 12년 만에 최대 폭으로 늘면서 그 여파가 취업 시장에 미쳐 올해 청년 고용이 위축됐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청년 '고용 절벽'이 심각하자 정부는 이번 주 내 청년 고용 활성화를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한다. 정부가 이번 대책에서 어떤 해법을 담아낼 것인지는 미지수이다. 하지만 현재 청년 취업난은 정부 교육'취업정책의 실패와 청년 일자리에 대한 기업의 관심 부족이 낳은 결과라는 점에서 이의 반성은 물론 보다 실효성 있는 청년 고용대책이 절실하다.
20대 청년 실업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갈수록 높다. 더 심각한 문제는 취업을 희망해도 일자리를 찾지 못한 젊은 층이 몇 배 더 많다는 점이다. 6월 말 현재 15∼29세 실업자만도 44만9천 명이다. 여기에 일은 하고 있으나 다른 일자리를 찾는 잠재적 구직자 64만3천 명과 시간제 등 추가 취업 희망자 6만5천 명까지 더하면 116만 명이 백수에 가깝다.
박근혜 대통령도 이를 의식해 24일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장'지원기업 대표단 청와대 오찬간담회에 참석한 대기업 총수들에게 "대기업이 청년 신규 채용에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대통령의 당부에는 기업의 협조 없이 청년 취업난을 풀 수 없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형편이 어렵다는 이유로 대기업이 청년 고용을 주저한다면 그 어떤 정책도 힘을 받을 수 없다. 대기업의 과감한 투자와 청년 고용에 대한 관심이 문제를 푸는 열쇠이기 때문이다.
현재의 청년 취업난을 부른 사회구조적 문제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학력 인플레와 조기진로지도의 부재, 저조한 청년 창업률 등은 청년 실업자를 양산하는 요인이다. 당장 내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32만 명씩 대졸자가 쏟아져 나오지만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는 정년 연장으로 더 늦춰지는 등 풀어야 할 문제가 겹겹이다.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협력해 청년고용을 늘리기 위한 정책 과제들을 검토하고 드러난 문제점을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