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해의 창] 포스코 사태로 포항이 휘청, 어쩌다 이 지경까지 왔는가

포항이 비틀거리고 있다.

포스코발 사태로 인해 경제가 휘청거리고 이로 인한 포항사회 전체가 요즘 말로 멘붕상태다.

여기다 포스코건설 비자금 의혹에서 시작된 검찰 수사의 칼끝이 포스코를 넘어 포항지역 정치권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띠면서 사태가 종잡을 수 없게 된 것이다.

무엇이 어떻게 잘못됐길래 사태가 이 지경까지 왔는가? 결과적으로 첫 단추를 잘못 끼웠기 때문이다. 포스코 회장 인선부터 정치권이 감 놔라 대추 놔라 할 때부터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정치권의 개입으로 회장 자리가 정권의 전리품처럼 돼버려 회장이 정권의 꼭두각시가 돼 그들의 요구에 깨춤을 추다 보니 이렇게 된 것이다.

현재까지 검찰 수사로 인해 포스코 일부 협력사가 정권 실세의 측근들에게 맡겨지고 이를 통해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시민들은 설마 했던 일이 사실로 밝혀지고 있는 것을 보면서 큰 충격을 받고 있다.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는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의 경우 지난 2009년 회장 자리를 놓고 당시 윤석만 포스코 사장과 경합을 벌이다 MB정부 실세의 도움으로 회장 자리에 오른 것으로 세간에 알려졌다.

이 같은 실세의 도움에 힘입어 회장이 된 그로서는 정권의 요구를 뿌리치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 결과 정권 실세들에게 끌려다니면서 본업인 제철사업은 뒷전으로 밀려났으며, 본업과 무관한 문어발식 기업인수합병으로 인해 포스코의 곳간이 줄어드는 빌미가 됐다.

실제로 정 전 회장 취임 전 31개에 불과했던 계열사가 정 전 회장 취임 후 2012년에 무려 71개까지 불어나는 기현상이 빚어졌다.

그동안 6조5천억원(2008년)이 넘던 영업이익은 2조2천억원대(2013년)로 급락했다. 철강 경기 불황도 한몫을 했지만 무리한 투자가 빚어낸 참담한 결과가 수치로 드러난 것이다.

직원들의 두터운 신임으로 회장 자리에 오르지 않고, 정권의 힘에 의해 회장이 된 결과가 오늘의 포스코 사태를 불러온 주요 원인임을 부인할 수 없다.

정치권과 포스코는 지금부터라도 정신을 차리자. 주인이 없는 회사라고 하지만 2만여 명에 달하는 포스코 임직원과 포항 시민이 엄연한 포스코의 주인이다. 정치권도 더 이상 포스코 회장 인사에 개입하지 말라. 정권이 바뀌는 순간 부메랑이 돼 자신들의 가슴에 꽂히는 순간을 숱하게 봐왔지 않는가?

포항 시민을 비롯한 국민들도 더 이상 포스코 회장이 정치권에 휘둘리는 모습을 보고 싶지 않다. 포스코 회장도 회장이 되는 순간 마지막 봉사라는 각오로 경영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치권 눈치를 보지 말자. 더 이상 욕심을 내 뭣하겠는가? 샐러리맨으로 시작해 국내 10대 기업의 총수 자리까지 올랐는데 그보다 더 좋은 명예가 어디 있겠나. 포스코는 회장 개인의 것이 아닌 우리 국민 모두의 기업이라는 점을 명심하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