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광장] 인터스텔라

경북대 고고인류학과
경북대 고고인류학과'경북대 대학원 영문학 석사

나는 격언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격언은 인간을 그저 잠시 고무시켰다 시들하게 만드는 말장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시시한 격언들 사이에서도 가끔씩 내 마음에 쏙 드는 근사한 것도 있다. 이를테면 이런 격언이다. "인간은 위대한 것을 찾아 전 세계를 여행한다. 그러나 결국 그것을 집에 돌아와서 발견한다."

저 짧은 문장이 내게 최고의 격언이 된 이유는 단순하다. 인간에게 무언가를 단선적으로 추구하도록 강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찍 일어나서 벌레를 잡아라!" 혹은 "99%의 노력으로 천재가 되어라!" 같은 격언은 듣는 것만으로도 숨이 콱콱 막히지 않는가. 우리 모두가 '벌레를 잘 잡는 새'나 '에디슨 같은 천재'가 되기 어렵다는 점도 반감을 불러온다.

반면 내가 꼽은 저 격언은 무언가를 지시하거나 강요하고 있지 않다. 대신 겉보기에 실패로 보이는 우리 대다수의 인생이 사실은 아주 작은 발상의 전환만으로도 천국이 될 수 있다는 위안만을 줄 뿐이다.

영화 '인터스텔라'는 한국에서 불가사의한 인기를 누렸다. 이 영화의 성적은 한국에서 개봉한 모든 외화 중에서도 역대급이었지만, 다른 국가에서의 흥행 성적과 한국 내의 그것을 비교해 봐도 비정상적이었다. 일이 이렇게 되고 보니 이제는 '왜 하필 한국에서만?'이라는 질문이 또 화제가 됐다.

혹자는 한국의 비정상적인 교육열과 연관이 있다 했고, 어떤 언론은 한국인의 지적 허영과 관련이 있다고 했다. 정답이 하나일 리는 없으니 다 조금씩 맞는 말일 테다. 한 번 대세 영화가 되면 무조건 봐야 직성이 풀리는 벌떼 근성이 그 현상의 기본이기는 하겠지만 말이다.

나는 또 한 가지 가설을 덧붙이고 싶다.(스포일러 주의) 극 중 쿠퍼라는 우주비행사는 사고를 당하는 바람에 순식간에 20년 뒤의 미래로 가버리게 된다. 지구에 남은 열 살배기 딸이 불과 2시간 만에 30대가 되어 버리는 것. 쿠퍼는 제발 이제는 돌아와 달라고 외치는 딸의 영상 앞에서 눈물을 흘린다.

나는 이 장면이 한국 흥행의 핵심이라고 보고 싶다. '저녁도 없는 삶'을 사는 한국인들에게 저 장면은 SF가 아니기 때문이다. 회사 생활이든 자영업이든 그것을 시작하는 순간 우리는 수십 년을 워프해 버린다. 어느덧 정신을 차리고 보면, 갓난아기는 처녀가 되어 있고, '딸바보'였던 아빠는 무뚝뚝한 가장이 되어 있다.

우리는 전 인류를 구해야 할 임무도 없었고, 딱히 위대한 것을 이루어 낸 것 같지도 않은데도,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되어 있는 것이다. 영화 속의 쿠퍼처럼 우리도 과거의 자신에게 외치고 싶어진다.

"떠나지 마! 이 자식아! 가족과 함께 있어!"

그러나 우리 한국인들, 크게 실망할 필요는 없다. 원래 인간은 존재하지도 않는 위대한 것을 찾아 전 세계를 여행하는 법이라지 않나. 그러니 진짜 중요한 문제는 이제 집에 돌아가 '위대한 것'을 진정으로 발견해 내는 일일 테다.

당신이 자녀의 대학 등록금을 내줄 수 없어도 좋다. 무슨 '월드 럭셔리 팰리스' 따위의 성냥갑 안에 살지 않아도 좋다. 안중근, 윤봉길 의사처럼 민족을 위해 큰일을 하지 않았어도 전혀 상관없다. 당신에게 지금 가족이 있고 그들을 만나러 갈 여비 정도만 있다면, 당신은 그 누구보다 훌륭한 사람이고 행복한 사람이다. 위대한 것은 애초에 그러니까, 웜 홀 속에 있지 않았다는 것. 그것을 언제라도 깨달을 수만 있다면 이 세상은 의외로 따뜻한 천국인 셈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