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도심 트롤리 버스 도입 '일단 멈춤'

장애인단체 "편의시설 갖춰야"…민간업자 "수익 낮아" 신청 꺼려

대구 중구청이 올 연말 선보일 예정이었던 도심 순환용 관광버스. 서울시 제공
대구 중구청이 올 연말 선보일 예정이었던 도심 순환용 관광버스. 서울시 제공

올 연말 대구 도심에서 운행할 예정이었던 도심 순환용 관광버스(본지 5월 15일 자 4면 보도) 도입이 난관에 봉착했다.

관광버스의 수익성이 낮다고 판단한 민간업자들이 신청을 꺼리고 있는데다 최근에는 장애인인권단체들이 버스 개조 방식에 제동을 걸어온 때문이다.

중구청은 지난 5월 중구를 찾는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김광석길, 방천시장, 서문시장 등 주요 관광지를 도는 순환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 중구가 도입하기로 했던 관광버스는 외국 관광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트롤리'(trolley)형 버스. 타지에서 대구를 찾는 관광객이 이용한다는 점을 고려, 여행용 가방 등을 둘 공간 등을 마련하고자 당초 25인승 버스를 20인승으로 개조할 계획이었다.

계획대로라면 이미 민간업자를 선정해 이르면 내달쯤 선보일 예정이었지만 문제가 발생했다.

지난 7월부터 사업자 공고를 4차례 냈지만 사업성 부족으로 아직까지 신청한 사업자가 없는 상태다. 여기에다 장애인인권단체들은 교통 약자 편의 보장을 요구하며 버스에 휠체어리프트 설치와 휠체어 보관 공간 확보를 요구하고 나섰다.

문제는 장애인단체 요구 사항을 모두 받아들이면 버스 내 좌석이 최대 13인승으로까지 줄어든다. 이 경우 민간 사업자를 선정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데다 공사를 위한 추가 예산확보 등으로 운행 시기가 더욱 늦춰질 우려가 있다.

장애인단체들은 "행정기관이 추진하는 관광버스에 장애인 등 교통 약자를 위한 편의시설을 갖추지 않은 것은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 규정한 차별행위에 해당한다"며 "이는 지난 2012년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사항에도 명백히 나와 있는 사실이다"고 했다.

이에 중구청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중구청 관계자는 "김광석길, 근대골목 등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위한 예산 확보를 마쳐 현재 추진 중이다"라며 "하지만 도심관광 버스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쉽지 않아 고심 중"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