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최소 2석 줄어들고, 경기도 최대 7석 늘어나

경북 인구 하한 미달 선거구 5곳, 경기도 59석 확실시 '최대 수혜자'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년 4월 20대 총선의 지역구 수를 244∼249개 범위에서 정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각 권역 및 지역구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획정위는 지역구 수와 관련해 총 6가지 경우(지역구 수 244개부터 249개까지)의 수를 내놓았지만, 획정위 안팎에서는 현행 246개를 유지하거나 최대치인 249개로 3석 증가시키는 두 개 안 가운데 하나가 채택될 것으로 보는 관측이 많다.

◆수도권 웃고 농어촌 운다

246석이냐 249석이냐와 무관하게 권역별로 보면 인구 상한을 웃도는 지역구가 많은 경기도가 현재(52석)보다 7석 늘어난 59석이 될 것이 확실해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반면 경북은 현재(15석)보다 2석이 줄 수밖에 없고 최대 3, 4석까지 줄 수도 있어 비상이 걸렸다.

또한 인구 하한 미달로 통폐합 대상으로 분류된 지역구가 밀집한 경북, 전남북, 강원 등 '농어촌 지역'은 246석이냐, 249석이냐에 따라 권역별 지역구 수가 몇 개나 줄어들 지가 달라지므로 각 권역 간 물밑 신경전이 치열할 전망이다.

이들 권역은 어느 지역을 어디와 붙여 어떻게 나눌지 여러 시나리오가 가능한 만큼 획정안이 나오는 내달 13일까지 같은 권역 의원들끼리 목숨을 건 '지역구 사수'쟁탈전'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총 의석 수가 최대한 덜 줄게 하려면 권역별로는 뭉치면서도, 권역 안에선 자기 지역구를 지켜내려고 동료의원과 싸워야 하는 얄궂은 운명인 셈이다.

◆대구 그대로, 경북 최소 2, 3석 감소

8월 말 인구(5천146만5천228명)를 기준으로 대구경북권의 선거구획정 예상 시나리오는 대구의 경우 12개 선거구가 현재 틀로 유지되겠지만 15석인 경북은 지역구 수가 246석으로 결정되면 최소 2석, 249석이면 최소 3석을 줄여야 한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8월 31일 기준 상한 인구 수는 27만8천945명, 하한 인구 수는 13만9천473명이다.

경북은 다양한 통폐합 시나리오가 난무할 정도로 의원들 간 신경전이 치열하다. 현재 인구 하한 미달로 조정대상인 선거구는 ▷영천 ▷영주 ▷군위'의성'청송 ▷문경'예천 ▷상주 등 5곳이나 된다. 반면 인구 상한 초과는 새누리당 최경환 의원의 지역구인 경산'청도 1곳뿐이다. 청도를 떼내는 방안이 확실시된다. 의원들은 자신의 지역구를 지켜내기 위해 제각각 다른 그림을 그리고 있으며 실제 여러 방안이 가능하다. 결론이 어떻게 날지 매우 불확실한 상황이다.

지역구를 최소 2석만 줄이면서 손대야 하는 선거구를 최소화하려면 '군위'의성'청송'과 '상주'를, '문경'예천'과 '영주'를 각각 묶고 '청도'를 '영천'에 붙이는 방식이 거론된다.

경북지역은 지역구 수가 어떻게 결정될지도 중요 변수다. 인구수가 10만 명가량인 지역구가 몰려 있어 획정 방법에 따라 최소 2개에서 최대 4개까지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지역구 수가 249개면 영호남의 의석 수 감소 균형을 맞출 필요성에 따라 최소 3석을 줄여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