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 공천 방식을 놓고 새누리당 내에서 김무성 대표 측과 친박 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김 대표는 지난 24일 "전략 공천은 단 1명도 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어 추석 연휴 중 당내 협의 없이 '안심번호를 활용한 국민공천제'를 추진키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잠정합의했다. 이에 대해 범친박으로 분류되는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전략 공천은 필요하다"며 정면으로 반박했고 이어 29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친박 지도부가 대거 불참하는 등 친박이 조직적으로 반발하는 양상이다.
김 대표가 '전략 공천 불가론'과 '국민공천제'를 주장하는 이유는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내년 총선 공천에서 친박계의 진출 또는 입김을 차단하겠다는 것이 그 목적이다. 그런 점에서 '전략 공천 불가론'은 순수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즉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주는 것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친박과의 세력 경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포석이라는 얘기다. 김 대표의 주장이 여론의 지지를 받고 못 받고는 이런 '정략적' 측면을 얼마나 희석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
그러나 대구경북으로 초점을 맞출 경우 '전략 공천 불가론'은 일정 부분 타당성을 가질 수 있다. 지역에 기여한 바가 없어도 정권 핵심부의 낙점만 받으면 국회의원이 되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러나 현실은 내년 총선 공천에서도 같은 일이 되풀이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대구의 경우 현역 의원 중 2, 3명을 빼고 전부 교체 대상이며 박근혜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가 그 자리를 채울 것이란 풍문이 나돌고 있다. 지난 7일 박 대통령의 대구 방문에 대구 국회의원 중 한 사람도 초청받지 못한 사실은 그런 풍문을 풍문으로 받아들이기 어렵게 한다.
전략 공천이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다. 취약 지역에 경쟁력 있는 후보를 내려면 전략 공천을 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의 발전을 위해 정권 핵심과 통하는 '힘있는' 인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구경북의 전략 공천은 이와는 분명히 거리가 있었다. 지역 유권자가 전략 공천에 거부반응을 보이는 이유다. 내년 총선 공천에서는 이런 점들이 충분히 고려돼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