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능 영어 2018학년부터 절대평가

교육부 수능 기본 계획 확정 발표…만점 100점, 등급간 차이는 10점

현재 고1 학생이 치르는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영어 영역 성적 산정 방식이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뀐다. 이에 따라 영어의 변별력이 약화하면서 다른 영역의 비중이 커질 전망이다.

1일 교육부는 영어 영역에서의 절대평가 도입 방안을 중심으로 한 '2018학년도 수능 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이번 계획에 따르면 영어 만점(원점수 기준)은 현재와 같이 100점이고 등급 간 점수 차이는 10점씩 둔다. 가령 90점 이상이면 1등급, 80~89점은 2등급이 되는 식이다. 문항 수는 현재처럼 45개이고, 1개 문항당 배점도 마찬가지로 2점이나 3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현재 '쉬운 수능시험' 기조를 이어갈 뜻도 비쳤다.

교육부 측은 "학교 현장, 대학 입학 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학생 간 차이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고 기존 수능 점수 체제와 조화가 잘 된다는 점에서 9등급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며 "영어에 절대평가 방식이 도입되면 다른 수험생과 무관하게 자신의 원점수에 따라 정해진 등급을 받게 돼 1점이라도 더 따려는 경쟁은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다른 영역의 시험은 2017학년도와 같다. 국어는 45문항, 수학은 문'이과 각 30문항이 출제되고 만점은 국어, 수학 모두 100점이다. 한국사는 20문항(50점 만점)이다.

송원학원 차상로 진학실장은 "지난해 치러진 수능시험은 상위 16%, 지난달 시행된 9월 모의평가 때는 상위 23% 정도가 1등급인데 이처럼 쉬운 수능 기조를 유지한다고 하니 대략 4, 5명의 수험생 중 1명은 1등급을 받을 수 있게 되는 셈"이라며 "영어는 변별력이 거의 없는 과목이 될 공산이 크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