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도권 분구 억제…농어촌 의석 5곳 줄 듯

획정위, 지역구 現 246석 유지…경기도 2석 덜 늘리는 案 검토

'농어촌 지방 선거구 사수'를 요구하며 상경한 농어촌 지역구민들이 6일 국회에서 농어촌 선거구 축소 반대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 4'13 총선의 국회의원 선거구획정 작업에서 여야 정치권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수도권 지역구의 분구를 억제해 농어촌에서 줄어드는 지역구의 숫자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6일 정치권과 획정위에 따르면 획정위는 지역구를 현행 246석 유지로 가닥을 잡고 농어촌 지역구 감소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와 관련, 획정위는 인구편차 2대 1 원칙을 준수하면서 농어촌에서 감소될 의석수를 기존의 9석에서 5석 안팎으로 절반가량 줄일 수 있는 획정안과 획정기준을 찾기 위해 시뮬레이션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를 위해 획정위는 ▷인구상한선'인구하한선 산정방식을 '적정 규모의 특정 지역구 하나'를 잡아서 그로부터 인구편차 2대 1을 충족시키도록 상한'하한선을 산출하는 것으로 변경하고 ▷현행법에 규정된 '자치 구'시'군 분할 금지 원칙'의 예외 허용폭을 넓히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방식으로 수도권에서 인구 상한 초과로 분류돼 '분구'가 되는 선거구를 억제함으로써 여유가 생기는 지역구 수만큼을 통폐합 대상지역으로 꼽힌 농어촌 지역구의 감축을 줄이는 쪽으로 배분할 수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7석이나 '순증'할 것으로 예상돼 이번 선거구 재획정의 '최대 수혜자'로 꼽혔던 경기도의 지역구 수를 2석 정도 덜 늘리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획정위 한 관계자는 "농어촌에서 감소하는 의석수를 줄여야 한다는 데는 의견이 모아졌고, 그 숫자를 1, 2석 정도가 아니라 4석 안팎으로 더 늘리기 위해 수도권 의석수를 어디에서 어떻게 덜 늘릴지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회 정개특위 관계자는 "농어촌 인구가 적어서 지역구 수 감소가 불가피하지만 그 숫자를 기존에 거론되던 것의 절반 정도로 줄이면 농어촌 의원들도 불만을 제기할 수 없고 여야 모두 '농어촌 배려'를 위해 노력한 게 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농어촌 지역구 수가 9개 줄 경우 영남 3곳(경북 2곳, 경남 1곳), 호남 5곳, 강원 1곳이 해당된다. 농어촌 선거구가 당초 9곳에서 5곳 감축으로 확정될 경우 경북 1곳, 호남 2, 3곳의 선거구는 '생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경북은 1개 선거구만 줄 경우 인구 상'하한에 걸리는 상주, 문경'예천, 영주, 군위'의성'청송 선거구 간 조정'조합이 2곳 줄 때보다 더 복잡해진다. 당초 완전히 분산소멸할 것으로 전망된 군위'의성'청송 선거구가 일부 지역만 떨어져 나가거나 2개 군이 다른 지역과 합쳐질 경우 새누리당 현역 의원들 간 자리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