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바람직한 청와대의 '총선 출마자' 조기 정리

청와대가 내년 총선 출마자를 교통정리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5일 민경욱 대변인과 박종준 경호실 차장이 내년 총선 출마를 위해 사표를 낸 사실을 공개하면서 "(청와대에서 총선 출마를 위해) 거취를 표명할 사람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청와대 참모들이 대거 내년 총선에 출마할 것이라는 '풍문'을 일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안종범 경제수석, 천영식 홍보기획비서관, 신동철 정무비서관, 안봉근 국정홍보비서관의 대구 지역 출마설도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됐다. 지난주부터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는 인사들에게 일일이 의사를 확인한 결과라고 하니 청와대 참모 출마설은 더 이상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바람직한 결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무엇보다 새누리당의 공천룰 갈등과 맞물려 제기된 '박 대통령 공천 개입설'과 청와대 참모를 동원한 대구경북 물갈이설을 차단할 수 있게 됐다. 이런 '설'들은 김무성 대표가 내놓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청와대 관계자가 '5대 불가론'으로 반박하면서 기정사실화하는 양상을 띠었다. 이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박 대통령이 퇴임 후 여권 내 영향력 유지를 노린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이런 설들이 퍼져나가는 데 대해 박 대통령은 매우 언짢아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은 대통령이 되기 전에도 공천권이나 지분권을 놓고 다툼을 벌인 적이 없다"며 "공천권 갈등으로 보는 시각 자체가 박 대통령 생각과 거리가 멀다"고 했다. 박 대통령의 뜻이 그렇다면 앞으로도 청와대는 '정치 문제'에 대해 간여하는 듯한 언행은 철저히 자제해야 한다.

총선 출마자를 조기에 교통정리한 만큼 이제 청와대는 국정과제 추진에 매진해야 한다. 공무원연금 개혁은 진작에 물 건너갔다. 노동개혁도 대타협은 이뤘지만, 각론은 논의에 들어가지도 못했다. 대타협에 걸맞은 결과가 나올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이런 가운데 우리 경제성장률은 2%대로 고착될 것이란 불길한 예측이 쏟아지고 있다. 이런 난제들을 풀어가려면 무엇보다 청와대가 앞장서야 한다. 그래서 청와대가 '정치'와 절연이 필요한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