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팔 살아 있을까?'
금융 다단계 사기범 조희팔의 2인자 강태용(54)이 중국에서 체포되면서 조 씨의 생존 가능성이 수면 위로 급부상하고 있다.
조 씨 사건 재수사에 나선 검찰이 생존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는데다 조 씨 사망에 대한 경위가 불분명하고, 생존설에 대한 각종 제보도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은 2008년 10월 다단계 사기 사건이 터진 뒤 같은 해 12월 중국으로 밀항한 조 씨가 3년 뒤인 2011년 12월 중국에서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찰 발표 당시에도 조 씨가 사망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잇따라 제기됐다. 사망 근거로 제시된 것이 유족이 찍었다는 동영상과 중국 당국이 발행했다는 사망의료증명서가 전부였기 때문이다. 경찰은 조 씨 유족이 보관하던 뼛조각을 입수,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DNA 조사를 의뢰했지만 감식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지난해 7월부터 재수사에 나선 검찰은 조 씨의 생존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영렬 대구지검장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살았는지, 죽었는지) 어느 쪽으로도 단정할 수 없다"면서도 "살아있다는 것을 전제로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이 사망했다고 공식 발표한 인물을 검찰은 '살아있다'는 가정하에 수사를 하는 셈이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검찰이 재수사 과정에서 조 씨의 생존에 대한 '단서'를 포착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조 씨의 범죄 수익금을 은닉하던 고철무역업자와 '조희팔 전국 피해자 채권단' 주요 관계자 10여 명을 구속했다. 이 과정에서 조 씨의 신변에 대한 정보를 입수했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 강 씨를 검거하는 데도 재수사 이후 피해자들의 제보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더욱이 검찰은 중국 공안에 협조를 요청하면서 장쑤(江蘇)성 우시(無錫)시의 강 씨 아파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정보력(?)을 과시했다. 대구지검 관계자는 "피해자가 많은 까닭에 여러 정보를 입수해서 분석했다"고 밝혔다.
실제 검찰에 조 씨의 생존 여부와 은닉 장소에 대한 제보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검찰은 "조 씨의 신변과 관련해 상황이 변화된 새로운 자료가 없다. 강 씨를 수사하면 조 씨의 신변에 대한 내용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피해자들은 조 씨의 생존 가능성에 상당한 무게를 두고 있다. 한 피해자는 "경찰이 조 씨의 사망 근거로 삼은 사망의료증명서와 화장증, 장례식 동영상 등에 허점이 많다"며 "경찰의 사망 발표 자체를 믿지 않는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