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10명 중 6명은 본인이 '금수저'가 아닌 '흙수저'에 속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흙수저란 집안 사정이 썩 좋지 않은 계층을 이르는 신조어다. 좋은 집안에서 태어난 사람을 가리켜 '금수저를 물고 태어났다'고 말하는 데서 비롯된 다소 자조적인 표현이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구직자 1천82명을 대상으로 '귀하는 금수저와 흙수저 중 어디에 속한다고 생각합니까'라고 설문한 결과, 59%가 '흙수저'를 선택해 '금수저'(2.5%)라는 응답보다 24배가량 많았다. 본인을 흙수저로 판단한 이유로는 43.6%(복수응답)가 '생활비조차 스스로 충당해야 해서'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부모님의 금전적 뒷바라지를 못 받아서'(43.4%), '연로한 부모님의 노후 대비가 부족해서'(31.3%), '돈 걱정으로 학업에 집중하지 못해서'(29.6%), '취업 후에도 빚을 걱정할 처지라서'(29.6%), '부모님의 불화 등 가정환경이 좋지 않아서'(21%) 등의 답이 있었다.
이들 중 63.8%는 '본인이 노력해도 계층 이동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계층 이동이 절대 불가능하다'는 응답도 26.6%였다. 본인이 한쪽 계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은 '계층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부모님의 특성' 1위로 '재산'(77.4%, 복수응답)을 꼽았다. 계속해서 '인맥'(44.7%), '지위'(35.6%), '가정환경'(31.1%), '학벌'(26.6%) 등의 순이었다.
취업 준비 중 부모의 배경 때문에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 응답자도 42.8%에 달했다. '부모 덕에 돈 걱정 없이 구직하는 사람을 볼 때'(63.3%,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부모 회사에 취업하는 사람을 볼 때'(48.2%), '경제적 여유로 취업이 급하지 않은 사람을 볼 때'(47.1%), '부모를 통해 청탁 취업하는 것을 볼 때'(40%), '면접에서 부모 직업을 물어볼 때'(30.5%) 등의 순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