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인 불행해, 삶 만족도 OECD 최하위권 차지

한국인들의 삶의 만족도 순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으로 나타났다.

OECD가 19일 공개한 '2015 삶의 질'(How's life?)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평가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80점으로 조사됐다. 이는 34개 회원국 평균인 6.58점보다 낮다. 나라별 순위로는 한국이 OECD 회원국 가운데 27위를 차지했다.

사회적 연대 부문에서도 한국은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힘들 때 의지할 친구나 친척의 유무를 가리는 '사회연계지원' 부문에서 한국은 지난해 72.37점을 받아 꼴찌를 기록했다.

특히, 50세 이상 점수가 67.58점으로 대부분 80~90점대를 받은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이 터기와 함께 유일하게 60점대를 기록했다.

50세 이상은 삶의 만족도 분야에서도 5.33점을 기록, 15~29세(6.32점), 30~49세(6.00) 등 다른 연령대보다 낮아 한국에서 노년의 삶이 행복하지 않음을 보여줬다.

한국 어린이들이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도 하루 48분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짧았다.

15∼19세에 학교를 다니지 않고 취업도 않고 훈련도 받지 않는 방치된 비율도 9번째로 높았다.

반면 물질적 웰빙 지수는 한국이 회원국 가운데 단연 으뜸을 차지했다.

한국의 가구당 순가처분소득은 2013년 기준 2만270 달러로 금융위기 여파로 휘청거린 2009년보다 12.28%p 상승했다.

한국의 상승률은 집계가 있는 OECD 29개국 가운데 가장 높다.

이에 대해 OECD는 "한국은 2009년 이후 가계 수입·금융 자산·고용의 증가, 장기 실업률 감소 등 대부분의 물질적 웰빙 지수가 좋아졌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