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가 쌓여 자본까지 잠식된 한계기업에 대해 정부가 구조조정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영업이익으로 은행 이자도 못 갚는 소위 '좀비기업'이 매년 빠르게 늘고 있어서다. 정부가 이처럼 부실기업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하는 까닭은 내년 총선 등 정치 일정과도 상관이 있지만 대출과 보증으로 겨우 연명하는 한계기업들을 방치한 채 시간만 허비할 경우 국가 경제가 뿌리째 흔들릴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금융 당국은 25일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올해 안에 최대한 마무리 짓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이달 중순 부실 징후가 큰 중소기업 1천900여 개를 심사해 11월 말까지 퇴출 대상을 가려내는 등의 부실기업 구조조정 로드맵을 발표했다. 정부가 늦게나마 부실기업 확산에 대한 심각성을 깨닫고 정리에 속도를 내는 것은 다행한 일이다. 그만큼 좀비기업 존재 자체가 우리 경제에서 시한폭탄이나 마찬가지라는 뜻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가계부채보다 기업부채가 우리 경제에 더 위협적인 요소라고 진단한다. 빠른 시일 내 부실기업을 골라내 희망이 보이지 않는 기업은 퇴출시키고, 소생 가능성이 있는 기업은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등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소리다. 그렇지 않고 계속 미적댄다면 또다시 국가 전체가 금융 위기의 수렁에 빠지는 건 시간문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은 전국의 한계기업 수는 2009년 2천698개에서 지난해 3천295개로 5년 만에 600개가량 늘었다. 이미 자본 잠식 상태에 빠진 기업까지 치면 한계기업 수는 더 늘어난다. 대구경북 기업의 부실도 만만찮다. 지역 중소기업 중 한계기업의 비중은 2009년 12.2%에서 2012년 15.3%, 2013년은 24.9%로 급증세다. 경영 악화로 부실 상태에 빠진 기업 넷 중 하나는 좀비기업이라는 소리다.
무엇보다 부실기업 정리가 선언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좀비기업 정리는 신속하고 단호해야 한다. 엄청난 적자에도 자구 노력 없이 파업에다 성과금만 나눠 먹는 기업을 바로 퇴출시키지 않고 과거처럼 머뭇거린다면 더 많은 좀비기업을 양산하고 한국 경제를 망치는 일임을 알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