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국보 된다

문화재청 국보로 승격 지정 예고, 현존 지권인 불상 중 가장 오래돼

국보로 승격 지정 예고된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산청군 제공
국보로 승격 지정 예고된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산청군 제공

문화재청은 지난 26일 우리나라 최고의 지권인(智拳印) 불상으로 알려진 경남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1021호'사진)을 국보로 승격 지정 예고됐다.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766년(혜공왕 2)에 제작돼 현존하는 지권인 불상 가운데 제작연대가 확인된 가장 오래된 불상이다. 특히 이 불상은 제작 연대를 밝힐 자료가 부족한 고대 조각사 연구에 있어 연대와 양식을 유추하는데 기준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훼손된 부분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불두와 불신의 비례가 적절하고 조형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권인이란 두 손 모두 엄지손가락을 손 안에 넣고 주먹을 쥔 다음, 왼손 집게손가락을 펴서 오른손으로 감싸 쥐고,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왼손 집게손가락 끝을 서로 맞대는 손 모양을 말한다. 오른손은 부처를, 왼손은 중생을 상징한다.

지금까지 학계는 지권인을 취하고 있는 비로자나불 형식이 우리나라에 전래한 시기를 9세기 중엽으로 봤으나 이 불상이 발견되면서 8세기 중엽에 '지권인을 하고 장엄(장식이나 꾸밈)이 없는 여래형(如來形)의 비로자나불'이 성립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됐다. 문화재청은 "이 불상은 신라가 당나라와의 활발한 교류 속에서 불교의 새로운 변화와 흐름을 신속하게 반영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불상의 가운데 받침돌 안에서 발견된 납석사리호는 1985년 국보 제233호로 지정된 바 있다.

한편 문화재청은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국보 승격 예고와 함께 고려 십육나한도와 오백나한도 등 5건의 불교문화재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