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고교들의 진학 실적이 나아지려면 교육의 기본인 교육과정부터 제대로 챙겨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교육과정은 단순히 수업 시간표가 아니다. 교육기관이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할 내용과 활동을 체계적으로 편성한 기본 계획이다. 학교 교육의 뼈대를 이루는 게 교육과정인 셈이다. 흔히 수능시험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특색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라는 말도 교육과정을 잘 짜야 한다는 말과 맥이 닿는다.
A교사는 "국제정치나 과제연구 등 심화과목, 심리학과 미디어의 이해 등 전공 탐색 과정을 포함한 진로 집중 과정이 학교 교육과정에 녹아 있어야 그 학교의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했다.
교육과정은 진학 지도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도 챙겨봐야 할 사항이다. 진학 지도를 잘하려면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바꿔 말하면 교육과정을 어떻게 짜고, 운영하느냐에 따라 대학입시 수시모집에서의 성패가 판가름난다는 뜻이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아직 교육과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B교사는 "이제 '우리 학교는 수능시험을 잘 친다'는 말 따위가 안 나오고 '특색 있는 교육과정이 잘 돌아간다'는 말을 할 수 있어야 수시모집 실적이 개선될 여지가 생긴다"고 했다. C교사는 "현재 교육과정 담당 교사나 장학사가 진학 지도는커녕 교육과정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도 의문"이라며 "이 같은 상황에서 진학 담당 교사와 장학사가 교육과정을 알길 기대하는 것은 더욱 무리일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