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년 되자 시력 뚝 노안인 줄 알았는데…

당뇨 합병증 망막 손상 환자 5년 새 37% 껑충

#70대 이상 빈발 '주의보' 당뇨병 있다면 검진 필수

당뇨병으로 인한 안과 합병증인 망막 손상을 입는 환자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대 이상 노인 환자가 크게 증가해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당뇨병성 망막병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지난해 32만8천 명으로 2010년 23만9천 명에 비해 37%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진료비도 같은 기간 진료비도 328억6천만원에서 436억원으로 32.7%가 늘었다.

가장 많이 증가한 연령층은 70대 이상 노년층으로 최근 5년간 환자 수가 5만 명(82.1%)이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체 환자 10명 중 3명은 70대 이상 노인이었다. 지난해 기준으로 진료인원이 많은 연령층은 70대 이상(32.1%)이었고, 60대(31.7%), 50대(24.1%) 등의 순이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당뇨병에 의해 오랜 기간 고혈당에 노출된 망막이 손상되면서 망막의 미세혈관에 순환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장기간 고혈당에 노출된 조직의 단백질이 당화되면서, 혈관 내피세포가 손상을 입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막의 가는 혈관이 약해지면서 혈액성분이 빠져나가 붓거나 망막에 지방 성분이 쌓인다. 계속 진행되면 망막 주변에 비정상적인 혈관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가 망막의 중심에 있는 황반부로 침범하면서 시력이 크게 떨어진다. 그대로 방치할 경우 실명할 수 있는 질환이다. 망막병증이 진행되더라도 황반부로 침범하지 않으면 시력이 유지되고, 가벼운 증상이라도 황반부에 집중되면 시력이 크게 약화된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가장 큰 문제는 자각 증상이 없다는 점이다. 시력감퇴도 서서히 나타나고 통증이 없기 때문에 발견이 늦은 경우가 많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을 예방하려면 원인 질환인 당뇨병을 예방해야 한다.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경우에는 안저 검사를 통해 망막병증의 유무를 확인하고 조기에 치료해야 한다. 당뇨병 환자는 1년에 한 번씩 정기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뇨병이 원인이기 때문에 혈당조절을 잘하면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특히 임신 중에는 망막병증이 심해지고, 진행 상황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3개월에 한 번씩 안저 검사를 받아야 한다.

심평원 관계자는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증상을 단순한 노안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당뇨병이 있는 노년층은 반드시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