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경북출신 남자와 결혼하면 하루 65분 집안일 더 한다'라는 제목의 기사가 떴다. 서울대 경제학부 이철희 교수가 발표한 논문 얘기다. 그는 지난달 30일 어떤 학술회의에서 '남아선호가 강하게 나타난 지역에서 태어난 남성은 남아선호가 덜 강한 지역의 남성에 비해 전통적인 성 역할 태도를 지닐 확률이 높았으며, 이는 가사노동을 배분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많은 신문, 방송, 인터넷 매체들은 이것을 소개하면서 이 논문에 제시된 우리 지역의 사례를 앞다투어 보도했다. "1990년 출생성비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출생성비가 131인 경북에서 태어난 남성과 결혼한 여성은, 출생성비가 112인 인천 남성과 결혼한 여성에 비해 하루에 무려 65분을 더 가사노동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 기사가 나간 다음 날 우리 지역이 발칵 뒤집힐 것으로 생각했다. 경북도지사는 긴급대책회의를 여느라 동분서주하고, 경북의 사례라고는 하지만 대구도 다를 바 없으니 대구시장도 사태 파악과 대책 수립에 땀을 흘릴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지역 언론들은 기획기사를 잇달아 내보내면서 이런 상황에 대해 계속 떠들어댈 거라고 예상했다. 왜냐하면 이 보도는 '대형 재난'에 버금가는 충격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상하다. 우리 지역 사회는 너무 조용하다. 이 문제의 중요성을 잘 알지 못하는 것일까?
필자가 보기에 이 문제는 심각한 걱정거리다. 우리 지역 남성과 결혼한 여성은 하루에 한 시간 가사노동을 더 하는 셈이라는 얘기가 널리 퍼지면 어떤 일이 생기겠는가? 이런 우리 지역 남성과 결혼을 하겠다는 여성이 과연 있겠느냐는 것이다.
오래전부터 돌아다니던 우스갯소리가 사실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커졌다고도 볼 수 있다. "결혼시장에서 가장 큰 기피 대상은 ○○지역 출신 신랑이다. 그보다 더 큰 기피 대상은 ○○지역 출신 시어머니다." 이런 농담이 그저 우리 지역의 보수성에 대한 막연한 풍자라고 생각했는데 이 교수팀의 연구는 그게 사실일 수 있다는 얘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결혼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 지역 젊은 남자애들은 취직도 어려워진다. 한 번 생각해 보라.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뽑을 때, 보수적인 젊은이를 좋아하겠는가 아니면 진취적인 젊은이를 더 선호하겠는가? 여성에게 하루에 한 시간이나 집안일을 더 시킨다는 낙인효과 때문에 우리 지역의 젊은이들은 큰 손해를 보게 될 것이다.
뭔가 대책이 필요하다. 이것은 우리 지역의 어떤 지표보다 더 심각한 위기의 지표라고 생각한다. 남아선호가 강하고, 여성의 가사노동이 다른 지역보다 더 길고, 가부장적 의식으로 여성을 무시하는 이런 이미지야말로 대구, 경북을 위기로 몰고 갈 요인이라고 본다. 그래서 저 논문의 분석이 대형 재난에 버금가는 큰일이라고 하는 것이다.
대구경북이 살기 좋은 지역이라는 인식이 있어야 사람들이 이 지역을 떠나지 않고, 모여들지 않겠는가? 우리 지역 젊은이들이 매력 있는 사람으로 대접받고 그래서 장가도 잘 들고 취직도 잘하려면 대구경북은 여성을 존중하는 지역이 되어야 한다. 여성이 존중받으면 다른 모든 사회적 소수자들이 존중받을 것이다. 그러면 대구경북 지역은 사람 살기 좋은 지역이라는 얘기를 듣게 될 것이다. 대기업 유치보다 더 중요한 일은 여성을 존중하는 일이다. 창조도시를 만들려면 그렇게 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