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우리 집 보물전'의 두 번째 전시로 '임진왜란과 경주의 의병 김씨 사부자'를 17일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연다.
'우리 집 보물전'은 시민들의 참여형 전시이며, 경주를 중심으로 한 지역의 집안이나 개인이 지니고 있는 소중한 물건을 소개하는 작은 전시이다.
이번 전시는 400여 년 전 경주시 양북면 두산리에 살았던 문옹 김석견(文翁 金石堅'1546~1614) 선생과 세 아들의 사부자 이야기가 소개된다.
문옹 선생은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시작되자, 47세에 두 아들과 지역의 청장년 100여 명을 이끌고 전장으로 나갔다.
처음에는 제사를 받들고 대를 이을 생각으로 둘째 아들(몽양)은 집에 남겨두었으나, 부인 윤 씨가 전쟁에 나서도록 했다. 둘째 아들은 내남면 노곡리 곽천전투에서 아버지를 대신해 창을 맞고 26세(1596년)에 전사했다. 문옹 선생은 왜란 뒤 훈련원정(訓練院正)에 임명됐으나 둘째를 잃은 슬픔에 벼슬을 사양하고, 양북면의 두산별장(斗山別莊, 현 두산서당)에 기거하며 농사를 짓고 학문을 닦으며 후학을 가르치다가 69세에 생을 마감했다. 사후에 통정대부(通政大夫) 병조참의(兵曹參議) 벼슬이 내려졌고, 삼부자(몽양 제외)는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됐다.
이번 전시에는 문옹 선생의 아비 마음, 세 아들의 효심과 함께 임란 때 애국충정과 선비정신이 깃들어 있는 유품들이 전시된다.
이영훈 국립경주박물관장은 "이처럼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보물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내는 국립경주박물관의 '우리 집 보물전'에 지역에 계신 여러분의 많은 성원과 참여를 부탁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