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가습기살균제 사용하다 7명 사망, 제조社 처벌·보상 요구

부산·구미 피해자 가족 함께…대구서 정부 책임 촉구 시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가족들이 18일 오전 대구지방검창철 앞에서 집회를 열고 살균제 제조사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msnet.co.kr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가족들이 18일 오전 대구지방검창철 앞에서 집회를 열고 살균제 제조사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msnet.co.kr

"허가된 제품을 사용하다 가족을 잃었는데 정부는 책임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이 도보'자전거 행진을 통해 제조업체 처벌과 피해 배상 범위 확대 등을 호소하고 나섰다. 이들은 또 ▷스프레이 생활제품에 대한 호흡 독성 안전심사 의무화 ▷건강 피해 유발한 환경사범에 대한 징벌적 처벌제도 도입 등도 요구하고 있다.

18일 정오쯤 대구 동구 율하동 롯데마트 앞에 자전거 2대가 도착했다. 16일 부산에서 출발한 이들은 가습기살균제로 아내와 배 속 아이를 잃은 안성우(39'부산) 씨와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안 씨와 최 소장은 자전거에서 내려 대구경북의 피해자 가족과 시민단체 회원과 합류한 뒤 플래카드와 팻말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비가 내리고 바람이 센 날씨에도 살균제 피해 실상을 알리고 정부의 미흡한 대응에 비판하는 목소리를 냈다. 2009년 호흡 불량으로 네 살배기 아이를 잃은 김덕종(40'경북 구미) 씨는 "정부가 허가한 제품을 쓰다가 자식을 잃었는데 제조업체에 대한 고소'고발 등 정부 차원의 처벌 움직임이 없다"며 "직접 영국으로 가 해당 제조업체에 책임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에 따르면 대구경북에서 확인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는 33명이고 이 가운데 7명이 숨지고 26명이 투병 중이다. 지역별로 대구가 23명(5명 사망, 18명 투병), 경북이 10명(2명 사망, 8명 투병)인 것으로 조사됐고, 이외에 잠재적 피해자가 대구 35만 명과 경북 15만 명 등으로 추정된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정부는 1~4등급으로 구분해 1, 2등급에 대해서만 병원비와 장례비를 지원하고 있다"며 "3, 4등급 피해자들은 가습기살균제 사용이 확인됐음에도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억울한 상황"이라고 했다. 대구경북의 33명 중 12명이 1, 2등급이고, 21명이 3, 4등급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미 피해자 측에서 제조업체들을 상대로 고소'고발해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라며 "피해 등급은 질병관리본부의 1차 조사 때 정한 판정 기준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고 이를 조정하려면 정책적인 판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