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매기의 꿈'(리처드 바크 지음)의 원제는 'Dream of seagull(or gull)'이 아니다. 'Jonathan Livingston Seagull'이다. 주인공 갈매기의 이름만이 책명이다. 그렇다고 '~한 Jonathan Livingston Seagull'처럼 수식어도 없다. 왜 이름만이 책명이 된 것일까?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는 것일까?
조나단 리빙스턴의 부모님을 포함한 대부분의 갈매기들은 먹고사는 것을 우선시한다. 조나단 리빙스턴은 다른 갈매기들과 다른 모습을 보인다. 먹고사는 것보다 멋지게 날고자 하는 욕구가 더 컸다. 갈매기의 참모습은 나는 것이고, 갈매기답게 날기를 원한 것이다. 인간의 말로 번역하자면 사람답게 되고, 사람답게 사는 것이 꿈이라고 할 수 있겠다. 밥에 갇혀 허우적거리는 것이 아니라 나는 것으로 비유한, 참다운 삶을 살고자 한다. 나는 것 때문에 무리(공동체)에서 쫓겨날지언정 나답게 사는 것을 포기할 수는 없었다. 나답게 사는 것은 다른 이들을 따라하거나 따라가는 삶이 아니다. 밥에 끌려다니는 노예의 삶도 아니다.
이렇게 자유를 찾아가는 여정에서 조나단도 교육을 받기는 한다. 그러나 주입식 교육이 아니다. 자신의 내면에 있는, 자유롭고자 하는 마음을 발견하거나 찾아가는 방식이다. 오히려 끊임없이 배우려고 하는 열망을 가지고 사는 능동적인 학습이요, 삶이라고 할 수 있다. 조나단의 스승인 설리반이나 치앙이 다 그렇게 조나단을 안내했다.
조나단의 스승뿐만 아니라 조나단이 제자들을 교육한 방식도 마찬가지였다. 첫 제자인 플레처 린드를 비롯한 여러 제자를 교육할 때도 마치 선문답처럼 내면의 자유롭고자 하는 욕구를 일깨워주고 스스로 날 수 있도록 안내할 뿐이었다. 이것은 수직적이고 권위주의적인 관계가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기존 질서에 도전하고 새로운 세상을 꿈꾼다. 하나의 존재로서 존중하고 존중받는 관계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이런 것이 가능한 이유는 진정한 모습의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과 열정이다. 먹지 못하고 무리에게 따돌림당하는 등의 여러 어려움과 고통도 날기로 비유하는, 자유를 찾아가는 것을 막지 못한 것이다. 참다운 나는 그만큼 중요한 것이다.
마음으로 나는 것까지 터득하고 그 편안하고 행복한 곳에 머물러 살 수 있음에도 자신을 쫓아내고 많은 고난이 있는 현실의 삶으로 다시 내려온 이유도 사랑이다. 소수이지만, 자신과 같이 날기(자유)를 원하는 다른 갈매기를 돕는 것이 조나단 자신을 사랑하고, 다른 갈매기들이 그들 스스로를 사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기에 다시 돌아온 것이다. 또 다른 한계를 탈피하기 위한 몸부림이라 할 것이다.
자신의 참모습을 발견하고 찾아가는, 자기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사랑의 여정이기에 아무 수식어도 없는 주인공의 이름만이 원작의 제목이 된 것은 아닐까? 나는 나답게 커가고 있을까?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