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대한민국의 안전을 위협하는 테러

재난은 크게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나눈다.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홍수, 가뭄 등의 자연재난에 비해 테러, 전쟁, 화재, 대형 안전사고 등 사회재난이 전체의 80~9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회재난 중에서, 최근 IS(이슬람 급진 수니파 무장단체)의 막가파식 행동으로 인해 전 세계가 테러 불안에 떨고 있다. 지난달 13일 프랑스 파리 테러로 130명이 사망했고, 이에 앞서 러시아 여객기 테러로 224명 숨지는 등 이제 세계 어디에서도 안전지대를 찾기 어렵다.

대한민국 역시 더 이상 테러의 안전지역이 아니다. 우리는 벌써 IS와 같은 종교적 급진파 무장단체로부터 테러를 당한 나라이다. 2004년 이라크에서 김선일 씨 등이 테러리스트들로부터 참수를 당하였고, 지금도 한국민들이 IS의 테러 위협을 받고 있다.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 보고에 의하면 IS에 가담하려던 2명을 적발해서 출국 금지시키고 여권을 압수했으며, 한국에 폭탄 원료를 들여오려던 IS 연계 외국인 5명도 적발했다. 이 밖에도 IS 선전, 선동 사이트가 계속 늘어나고 있어서 이에 대응하기에 바쁜 상황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우리가 우려했던 일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듯하다. 국내에서 대규모 테러를 모의하고 실행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0월 25일 서울 코엑스를 폭파하려 한다는 정황이 포착되어 경찰이 수사에 나서기도 했다. 한국이 테러 안전지대가 아님을 피부로 느끼게 해주는 사건이었다.

언론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IS의 선전기구인 '알하야트 미디어센터'가 'IS에 대항하는 세계 동맹국'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에는 60개국의 국기를 실었으며 그중에는 미국, 프랑스, 영국, 캐나다, 호주, 일본, 중국, 러시아 국기 등과 함께 한국의 태극기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것은 한국도 IS의 표적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증명해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제는 국가적으로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국민과 정부가 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좋을지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고민하고 대책을 강구해야 할 때이다.

국민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에서 내용물을 알 수 없는 의심스러운 물건을 발견했을 때에는 즉시 주위 사람들에게 알리고 발견된 지점의 반대방향으로 500m 이상 대피해야 한다. 또한 휴대전화 등은 기폭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일단 폭발이 발생하면 즉시 바닥에 엎드려 양팔과 팔꿈치를 옆구리에 붙이고 손으로 귀와 머리를 감싸서 스스로 신체를 보호해야 한다. 이때 책상 아래로 몸을 피하거나 가방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는 방법도 좋다. 이동할 때는 엎드린 자세로 이동해야 안전하다. 휴대전화는 반드시 켜 놓아야 한다. 혹시 매몰되는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휴대전화 위치추적을 통해 자신의 위치가 알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미국을 비롯한 프랑스, 영국 등과 같이 테러방지법을 제정하여 테러에 대한 즉각적인 통합대응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이제 우리 대한민국도 테러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때가 되었다. 물론 테러방지법이 시행된다고 해서 대한민국의 안전이 확실히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테러와 같은 대형재난을 미리 예방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국정원, 국군, 경찰, 소방이 종합적인 통합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테러방지법 시행은 그 출발점이다. 지금이야말로 테러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한 때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