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야 "지역구 늘리고 비례대표 줄이자" 공감

9일 선거구 획정안 마무리, 現 의원 정수 300명 유지

정의화 국회의장이 3일 오전 국회의장 집무실에서 여야 대표 등과 회동을 갖고 내년 4
정의화 국회의장이 3일 오전 국회의장 집무실에서 여야 대표 등과 회동을 갖고 내년 4'13 총선 선거구 획정 기준 등을 논의했다. 왼쪽부터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 김무성 대표, 정의화 의장,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이종걸 원내대표,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이병석 위원장. 연합뉴스

여야는 3일 내년 4월 실시되는 20대 총선에서 지역구 숫자를 늘리고 대신 비례대표 의원 수를 축소하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그동안 비례대표 의석수를 둔 여야의 대치로 난항을 겪어온 선거구 획정 논의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정의화 국회의장과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양당 원유철'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만나 현재 국회의원 정수 300명을 유지하되 농'어촌 지역구를 최대한 유지하는 방향으로 선거구 획정안을 만들기로 했다.

여야는 그러면서 20대 총선의 혼선을 막기 위해 선거구 획정 문제를 9일 정기국회 내에 마무리하자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다. 이를 위해 5일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는 물론 국회 정개특위 위원까지 포함한 회동을 갖기로 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양당은 비례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보완에 대해, 특히 새누리당이 조금 더 고민을 하겠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고 말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비례대표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된다면 비례대표 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계속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여야는 현재 246개인 지역구수를 7개 안팎으로 늘리고 그만큼 비례대표 의석을 줄이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비례대표 축소 불가'라는 기존의 당론에서 새정치연합이 양보하자 새누리당은 야당이 요구해 온 권역별 비례대표제 대신 이병석 정개특위 위원장이 제안한 균형의석제 도입안을 검토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위원장의 제안은 현행 전국 단위 비례대표 선출방식과 새정치연합이 주장하는 '연동형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절충한 것으로, 각 정당이 정당득표율에 따라 확보 가능한 의석에서 과반을 보장하도록 지역구 당선자와 연동해 비례대표 의원수를 결정하자는 방안이다. 이 방식을 19대 의석수에 적용해보면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은 각 4석씩 줄고 군소정당은 비례대표 의석이 늘어난다. 또 하나의 골자는 농어촌 대표성 확보를 위해 같은 시도 내에서 인구 상한 초과로 분구되는 도시지역과 통합되는 농어촌 지역구가 있으면 도시지역을 분구하지 않고 일부 지역구를 농어촌지역구로 넘겨 지역 수를 현행대로 유지토록 하자는 것. 이를 적용하면 경북은 2석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 위원장은 농어촌지역 대표성 효과가 전국적으로 고루 나타날 수 있도록 20대에 한해 1개 선거구는 인구기준을 적용하지 않되, 이를 경북에 적용하자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