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새누리당의 공천 혁신, 결선투표제

새누리당이 내년 4월 총선 후보자를 결정하는 경선에서 '결선투표제'를 도입하기로 확정했다. 결선투표제란 3명 이상의 후보가 경쟁할 경우 1차 경선에서 1, 2위를 한 후보를 대상으로 2차 경선을 치러 공천자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방식은 추후 논의를 거쳐 과반을 얻은 후보가 없을 경우 아니면 1, 2위 간 지지율 격차가 오차범위 내일 경우 중 하나로 결정될 전망이다.

어떤 방식을 택하든 결선투표제 도입은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공천 경쟁에서 현역 의원이 유리할 수밖에 없는 이른바 '현역 프리미엄'을 상당 부분 걷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구 경선은 보통 현역 의원과 다수의 원외(院外) 후보들이 경쟁하는 형태로 치러진다. 원외 후보들에 대한 지지율은 분산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당연히 현역이 유리하다. 게다가 현역은 조직력이나 인지도에서 이미 원외 후보들보다 앞서 있다. 현행 경선제도가 정치 신인들에게는 '기울어진 운동장'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하지만 결선투표는 이런 이점을 대폭 상쇄할 가능성이 크다. 1차 경선에서 탈락한 후보들이 결선투표에서 1차 경선 2위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면 1, 2위가 뒤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0월 지역구 당원협의회 위원장을 선출하는 과정에서 1차 투표에서 전과가 있는 후보가 근소한 차이로 1위를 했으나 1, 2위 후보만 대상으로 한 결선투표에서 최종 승자가 뒤바뀌었다고 한다.

이는 정치 신인에게도 정계 입문의 기회가 그만큼 커진다는 것을 뜻한다. 김무성 대표가 도입하려다 포기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는 공천권을 국민이 행사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치 신인이 불리할 수밖에 없는 현행 경선제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결선투표제는 이런 결점을 차단할 수 있다. 안주하거나 경쟁력이 없는 현역은 도태되고 새 비전과 능력을 갖춘 새 인물이 그 자리를 메우는 상시적 물갈이가 이뤄질 수 있다는 얘기다.

새누리당은 결선투표제의 혁신 효과가 제대로 실현되도록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 현역의 반발이나 계파 이익 때문에 무늬만 결선투표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