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與 '결선투표제' 갈등 공개석상까지

비박 이재오 "특정인 배제 정치", 친박 이인제 "공정한 경선 수단"

내년 총선 공천룰을 두고 새누리당 내 두 계파가 공개석상에서 맞부딪혔다.

지난 6일 밤 비공개 긴급 최고위원회의 만찬 합의를 통해 큰 윤곽은 잡았으나 세부 규칙 논의 전에 적용 방식을 둔 이견이 속출하면서 친박-비박계 간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9일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선 지도부와 중진 간 설전이 벌어졌고, 한쪽에선 합의 자체를 인정할 수 없다는 의견까지 제기됐다.

총선 지분을 둔 계파 간 기 싸움이 하루가 다르게 긴장 지수를 높이고 있다.

9일 열린 새누리당의 최고'중진회의는 공천룰을 둘러싼 '빅매치'의 서막을 알렸다.

비박계 중진인 이재오 의원은 "경선에 참여하는 당원의 비율을 줄이는 게 신인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것"이라면서 "또 결선투표제는 1차에서 이긴 후보가 2차에서 뒤집어질 경우 선출된 후보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본선 경쟁력을 현저하게 약화시킨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본선이 따로 있는데 후보 경선에서 두 번의 선거를 치르는 제도가 과연 어느 나라에 있느냐"며 "그렇게 중차대한 문제를 의원총회에서 한마디 논의 없이 (최고위원들 간 합의로) 기정사실화하는 것은 옳지 않다. 특히 수도권에선 부작용이 많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결선투표제가 대구경북(TK) 지역에서의 물갈이를 겨냥한 제도'라는 분석에 대해 "특정지역의 특정인을 배제하기 위해 공천룰을 만들겠다는 게 사실이라면 민주주의 국가에서, 민주 정당에서 말이 되는 이야기냐"고 따졌다.

그러자 친박계로 분류되는 이인제 최고위원이 반박했다. 이 의원은 "1등 후보자가 50%를 넘지 않으면 예외 없이 1'2등을 놓고 결선투표를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결선투표제는 경선의 한 방식으로서 당헌'당규하고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했다. 그는 "결선투표 없이 하면 기득권자가 거의 100% 다 되는데 어떻게 공정한 경선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비공개 만찬 참석자이며 김무성 대표와 가까운 김을동 최고위원은 "과연 전국에서 50% 넘게 (표를) 획득하는 곳이 몇 군데나 있겠느냐. 거의 전무하다고 생각한다"며 "거의 전국에서 결선투표제를 해야 하는데 이건 더욱더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반론을 폈다.

본선 경쟁력과 신인 배려를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친박계가 결선투표제를 활용해 영남 지역의 현역 의원 물갈이 촉매제로 활용하려 한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일단 김무성 대표는 논란이 되고 있는 결선투표제 도입과 관련, 종국에는 당 의원총회를 통한 의견 수렴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결선투표제 도입은) 전혀 결정된 바가 없다. 결선투표제 기조나 원칙은 최고위원회에서 합의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공천룰 특별기구에서 논의해야 하고, 그 특별기구도 의총 등을 통한 의견 수렴을 통해서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