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연시를 맞아 술자리가 잦은 가운데 한국인의 40%는 술을 먹어서는 안 된다는 경고가 나왔다.
강보승 한양대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15일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인의 40%는 소량의 음주에도 안면홍조, 메스꺼움, 졸음, 아침 숙취, 실신 등의 특이적인 생리반응이 나타난다"면서 "술을 조금만 마셔도 몸이 빨개지고 힘든 사람들은 건강을 위해 소량의 술도 마시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이런 주장의 글(letter)을 미국신경학회 공식 학술지(neurology)에 게재했다.
보통 몸속으로 들어온 술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라는 물질로 바뀌어 분해된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체내 분해 과정에서 여러 독성 반응을 일으킨다. 얼굴이 붉어지고, 구역질이 나며 어지럽거나 가슴이 두근거리는 등의 증상이 대표적이다.
이런 증상은 한국인 등 동아시아인이 서양인에 비해 심하게 나타난다. 이는 유전적으로 동아시아인은 서양인보다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 처리하는 기능이 절반 이하, 심지어는 10분의 1 수준으로 낮기 때문이라는 게 강 교수의 설명이다.
강 교수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분해효소가 약한 것 자체가 심근경색의 중요한 위험요인이고, 이는 뇌혈관이 막힐 위험도 높인다"면서 "이런 인종적 차이를 간과한 채 서양인처럼 소량 음주의 긍정적 측면을 부각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술을 마시면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이런 위험성을 더 높이는 행동이라는 것. 강 교수는"담배를 피울 때 나오는 성분에도 아세트알데히드가 들어있다"면서 "술을 마셨을 때 부작용이 나타나는 사람은 상승효과를 막기 위해서라도 금연을 반드시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피치 못해 술을 마셔야 한다면 ▷빈속에 술을 마시지 말 것 ▷휴간일(간을 쉬게 하는 날)을 정할 것 ▷술을 마신 후에는 적어도 48시간 금주할 것 ▷가능하면 천천히 마시고, 폭탄주는 금할 것 ▷음주 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할 것 등을 권고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