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지자체마다 공공용물 명칭 제'개정 심의위원회가 있다. 새로 생긴 도시철도나 도로, 사거리, 다리 등의 이름을 결정하는 곳이다. 이름을 붙여야 할 공공용물이 생기면 시와 기초자치단체, 주민의 의견을 반영해 만든 몇 개의 이름을 대상으로 위원회가 논의해 결정한다. 서로 첨예하게 이해관계가 엇갈릴 때도 있고, 어떤 때는 위원회에서 제안한 이름을 포함해 표결에 부치기도 한다. 어떤 이름이 대상이 되든 대개 주변 행정'법정동이나 고유한 지명에 따라 결정하기 마련이다.
이런 이름은 한 번 정해지면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든 공문서는 물론 표지판, 지도 등에 기록된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많지 않을 듯한 다리 이름 하나도 신중을 거듭해 결정한다. 어떤 경우에도 상업시설을 역 이름으로 짓는 것은 배제하는 것이 첫째 원칙이고, 공공성이 강해도 역명으로 곧장 붙이는 것에 대해서는 많이 논의한다. 엄청난 광고 효과 때문이다.
1호선의 영대병원역, 2호선의 계명대 영남대역, 3호선의 칠곡경대병원역 등이 이런 사례인데 결정한 경과야 어찌 됐든 광고 효과는 톡톡히 누리는 셈이다. 3호선 개통 전에 대백프라자가 광고비도 내지 않고, 대봉역을 멋대로 대백프라자역이라고 홍보하는 안내 표지판을 설치했던 것도 이러한 광고 효과 때문이다. 일부 대학이나 고등학교는 함께 쓰는 병기(倂記) 형태로 역 이름이 되는데 이 또한 기준은 공공성이다.
역 이름은 아니지만, 역 이름에 괄호안 작은 글자로 부기(附記)하는 형식으로 상업시설의 이름을 쓰는 경우도 있다. 대학병원이 아닌 일반 병'의원, 백화점 등이다. 이는 대구도시철도공사가 연간 2회 입찰을 통해 판매하는 광고다. 역 이름으로 불리지는 않지만, 표지판과 객차 내 방송 등을 통해 수시로 노출되기 때문에 역시 광고 효과는 크다. 대구도시철도공사는 현재 3개 노선 11개 역에 상업시설을 부기하고 연간 2억원이 넘는 수익을 올린다.
서울시가 지하철 역 근처의 기관과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지하철 역 이름을 팔기로 했다. 그 방식도 기존의 역 이름과 동등하게 표기하는 병기라고 하니 새로운 수익 창출을 위해 과감하게 나선 셈이다. 사실 역 이름에 상업시설이 들어가면 시민들로부터 반감을 사게 마련이다. 그러나 도시철도가 만성 적자이고, 그 적자를 결국 세금으로 메워야 한다면 꼭 내칠 일만은 아닐 것이다. 대구도 적극적으로 '도시철도 역 이름 팔기'에 나서면 어떨까 싶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